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깨끗한진도개291
깨끗한진도개29123.03.22

우리나라 은행에서도 뱅크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미국 실리콘밸리은행에서 뱅크런이 발생하여 금융시장이 요동쳤는데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이나 금융기관은 자금을 대출하거나 투자 등의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은 곧장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대출금이 상환되거나 투자가 수익을 창출할 때까지 시간이 걸리는 등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때문에, 금융기관이 자금 조달과 운용에 문제가 생기면, 금융시장에 큰 파장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뱅크런은 금융기관이 자금 조달과 운용에서 문제가 생겨 쓸쓸하게 쇠고랑에 빠질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금융기관들은 안정적인 경영을 유지하고 있지만, 금융시장은 예기치 않은 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뱅크런이 발생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금융기관들은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안정적인 대출 및 투자 운용을 위한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와 금융감독당국도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금융시장이 뱅크런과 같은 대규모 금융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지만, 예기치 않은 금융위기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항상 경계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실적으로 판단했을 시 우리나라의 경우도 뱅크런의 가능성은 언제나 열려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금융기관의 뇌관은 저신용자대출과 PF대출로서 현재 연체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연체가 증가하게 되고 향후 이 대출들이 실제로 회수가 불가능한 대출이 되어버린다면 해당 금융기관은 '채권 회수 불능'으로 인하여 예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상황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PF대출의 경우는 대출금액이 크고 저축은행들과 증권사를 통한 연체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니 부동산 경기가 지속적으로 침체된다면 결국에는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뱅크런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