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사랑스러운 레베카
사랑스러운 레베카

다 될때까지 보여주기 싫어하는 아이의 심리?

완벽주의적 성향이 있으면 그럴까요? 무언가 하나 완벽하게 배워서 빈틈 없어야 한번씩 보여주는 성향입니다. 물론 성향을 알아서 확인하려고 하지 않지만, 이 마음을 조금 더 편하게 해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완벽하게 한다는게 사실 쉽지 않으니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완벽주의적 성향이 있다면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끼거나 실수를 할까봐 걱정스러워 남들 앞에서 자신의 능력이나 성과를 드러내는 것을 꺼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자녀가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충분한 연습 기회를 주고 결과보다는 과정에 집중하도록 유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완벽함을 추구하다 보면 일을 시작하기도 전에 지레 겁을 먹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완성도를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면 만족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작업하면서 서로 조언을 나누고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혼자서 모든 것을 해결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덜고 좀 더 편안한 분위기에서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사람이 완벽함을 추구해서 산다면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더 잘하지 못했다 라는 아쉬움은 계속 남아있기에 너무 완벽하려고 한다면 자신의 건강과 자신의 마음을 다치게 하는 것과 다름 없습니다.

    아이에게 완벽하지 않아도 되니 하는데 까지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지시켜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완벽함 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건강을 지키고, 내가 할 수 있는 부분까지 포기하지 않고 마무리를 짓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아이에게는 작은 성취도 칭찬하며, 과정보다 노력 자체를 인정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수나 불완전함을 자연스러운 학습의 일부로 받아들이도록 격려하고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메세지를 평소 자주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실수하더라도 괜찮다며, 실수를 많이 한 만큼 또 배우게 되는 거라고 이야기 해주세요. 그리고 아인슈타인도 수많은 실패를 하고 발명품을 발견하게 된 이야기를 들려주는는 것도 좋습니다. 완벽하지 않더라도 도전하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끊임없이 전달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실수에 대한 두려움 일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자신감 부족으로 이어 지구요.

    실수해도 괜찮은 환경, 결과보다는 과정이 중요한 것임을 알려주세요.

    관련된 영상이나 책도 많이 읽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완벽주의적인 성향은 앞으로 학년이 올라가면서 더 힘들어질 수 있어요. 그렇기에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점, 그리고 실수할 수도 있다는 점을 알려 주면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실패를 경험하면서 너무 좌절하지 않도록 하는 게 좋겠어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타고난 기질상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아이들은 또래 아이들보다 훨씬 더 크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이런 기질을 가지고 있는 아이에게는 부모님들께서 '틀려도 괜찮다, 1등하지 않아도 괜찮다, 다 맞지 않아도 괜찮다, 할 수 있는 만큼만 하면 된다, 열심히 하는 과정이 더 중요한 것이다' 와 같이 아이의 부담을 덜어주려는 노력을 많이 하셔야 합니다. 한두 번 이야기한다고 해서 되는 것은 아닙니다 타고난 성향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말해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어린나이에 아이들은 결과도 중요하지만 결과물이 나오기 전에 과정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과정 에서 오류를 부모님과 함께 상의 하고 고쳐 나가는 과정이 있어야 좋은 결과물을 볼 수 있어요

    아이의 타고난 성향이나 기질 일수도 있고 주위에서 환경적으로 완벽하거나 잘 한 것만 칭찬하다 보니

    본인 스스로 보여 주기 싫어 하는 것 같아요

    아이에게 과정의 중요함을 알려주고 잘하지 못해도 괜찮다고 아이가 편안한 마음을 가질 수 있게 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아이들의 경우에는 부모님의 성격을 타고나는게 보통입니다. 그리고 후천적으로 부모님의 성향을 배우는게 맞는데 아무래도 부모님께서 완벽주의를 가지고 있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따라서 우리아이에게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는것을 알려주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다 될 때까지 보여주기 싫어하는 심리는 완벽주의나 자신감 부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실수나 부족한 부분이 드러나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타인의 평가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땐 긍정적 피드백과 격려가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