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메트로폴리스'는 어떤 내용의 영화인가요?
최초의 장편 SF영화가 1927년 독일의 무성영화 '메트로폴리스'라고 하던데요.
이 작품은 어떤 내용으로 되어 있나요?
이 영화의 쳐초라는 타이틀 말고 작풍으로서의 평가는 어떠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프리츠 랑(Fritz Lang) 감독의 1927년 독일 무성영화 메트로폴리스(Metropolis)는 최초의 장편 SF영화로 꼽히는 작품입니다.
먼저, 이 영화의 내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메트로폴리스는 미래의 거대 도시이며. 이 도시는 극단적인 두 개의 세계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하나는 지상 세계로, 여기에서는 자본가나 사상가 등의 소수의 지배계급들이 화려하고 거대한 마천루에서 풍요롭고 안락한 삶을 영유하며, 도시의 머리(Head)를 상징합니다. 또 다른 하나는, 어둡고 기계적인 지하 세계로, 이곳에서는 다수의 노동자들이 비인간적인 환경에서 고된 노동을 하며 도시를 유지하는데, 도시의 손(Hands)을 상징합니다.
도시 지배자의 아들인 프레더(Freder)는 우연히 지하 세계의 실상을 목도하고 충격에 빠지게 됩니다. 그는 이후 노동자들의 희망이자 예언자인 마리아(Maria)를 만나게 되고, 그녀의 평화적인 메시지에 감화됩니다. 한편, 프레더의 아버지인 요 프레더센(Joh Fredersen)은 마리아를 위험 요소로 간주하여, 어린 과학자 로트방(Rotwang)에게 마리아를 납치하여 그녀와 똑같이 생긴 로봇인 기계인간을 만들어 냅니다. 로트방은 이 가짜 마리아를 이용하여 노동자를 선동하게 되고, 노동자들은 결국 도시의 심장인 중앙기계를 파괴하기에 이릅니다. 이후, 중앙기계의 파괴로 인하여 홍수가 발생하고, 노노동자들의 자녀들이 위험에 빠지게 되자, 진짜 마리아가 프레더의 도움으로 탈출에 성공하고, 아이들을 구하기 위해 피사적 노력을 하게됩니다. 이후, 모든 진실일 밝혀지고, 기계인간(가짜 마리아)은 불태워집니다. 프레더(가슴)의 중재로 그의 아버지(머리)와 노동자 대표(손)가 화해의 악수를 나누며 영화는 마무리 됩니다. 이때, 자막으로 "머리와 손의 중재자는 가슴이어야 한다"라는 유명한 메시지가 이 영화의 주제를 표현해줍니다.
이제, 이 작품의 평가를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이 작품은 시각적인 발전을 보여주며, 그 이후의 영화에 대해 지대한 영향을 가지게 됩니다. 당시 기술력으로는 불가능해 보였던, 미래도시의 풍경, 수많은 엑스트라가 동원된 군중들의 모습, 로봇의 탄생 장면 등은 시각적 충격을 안겨주었고, 쉬프탄 기법(Schüfftan process, 미니어처 세트와 실제 배우를 합성하는 기법)이라는 특수효과는 영화 기술의 혁신 중 하나로 꼽히며, 또한 독일 표현주의를 미학적으로 표현하였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또한, 후대의 '블레이드 러너'나 '스타워즈'에서도 이 영화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영화가 드러내려고 했던 주제성(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계급 갈등, 산업화로 인한 인간 소외, 기술에 대한 맹신과 위험성, 전체주의에 대한 경고 등)은 10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적용되는 사회적이며 철학적인 질문을 던져줍니다.
이러한 영화적 가치들을 인정받아, 영화로는 최초로 200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는 명예를 누리게 되었으며, 이는 이 영화가 인류적 자산임을 의미하는 것이었습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프리츠 랑 감독의 1927년 영화 메트로 폴리스는
상류사회의 도련님이 지하층의 착한 여인과 만나며
고도로 산업화된 미래도시에서의 빈부격차를 묘사한 영화 입니다
독일 표현주의 영화의 하나로, SF나 디스토피아같은 여러 장르의 원형을 제시 했으며
노동과 사회에 대한 비평이 높게 평가받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영상물 최초로 등록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