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pcr검사 12종 검사 랑 전립선염 마사지 검사도했습니다
소변 12종 검사 해서 다 정상으로 나왔구요
전립선염 에서 WBC가 3~5 정도 나왔는데
자꾸 3~5정도는 그냥 경과지켜봐도 된다구 하고 또 다른데에서는 약먹어야된다하고 말이 달라서
정확히 어떻게 이해를 해야되는지 궁금합니다 뭐 아프거나 그런건없고 소변도 잘보는거같습니다
3~5정도면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3-5개/hpf 검사 수치 정도라면 그냥 경과관찰하셔도 무방하겠습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괜찮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전립선에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성인 남성에서는 50%가 평생동안 한번은 전립선염 증상을 경험한다고 할 정도로 흔한 질환입니다.미국 국립보건원에서는 전립선염의 유형을 Ⅰ형 (급성 세균성 전립선염: 급성 증상이 있으면서 검사에서 균이 확인된 경우), Ⅱ형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3개월 이상의 만성 증상이 있으면서 검사에서 균이 확인된 경우), Ⅲa형 (전립선염 증상이 있으면서 균 검사에서 균은 자라지 않으나, 전립선액이나 정액검사, 전립선 마사지 후 요검사에서 염증이 있는 경우), Ⅲb형 (전립선염 증상이 있으면서 전립선액, 정액, 전립선 마사지 후 요검사 등에서 모두 이상 소견이 없는 경우), Ⅳ형 (전립선염 증상은 없으나 전립선 액이나 조직검사에서 염증이 있는 경우)으로 나누고 있는데 만성 전립선염은 II 형에 해당합니다.
만성 전립선염이 생기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요로계 감염 시 세균이 요도를 통해 직접 감염이 되는 경우입니다. 그러나 전립선액의 배설장애, 전립선 내로의 요 역류가 원인이 되기도 하며 치질이나 대장염과 같은 염증이 림프관을 통해 전염될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원인균으로는 장내 세균, 장구균, 임질균, 유레아플라즈마, 클라미디아 등이 있으며 바이러스, 원충류의 감염과 자가면역, 정신적 요인(스트레스, 피로, 우울증) 또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전립선액 내의 항균인자인 아연의 농도 저하, 전립선 석회화나 결석도 재발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히 호소하는 증상은 회음부의 불쾌감으로 가벼운 불쾌감에서 심한 작열감 및 압박감, 통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전신무력감, 피로, 빈뇨, 배뇨곤란, 긴박뇨, 잔뇨감, 야간뇨, 요도구 끝의 통증이나 불쾌감, 사정 시의 통증이나 이상 분비물, 발기부전이나 조루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소변이 탁하고 간혹 우윳빛이나 혈성 분비물이 보이기도 합니다. 과음, 과로, 스트레스, 과격한 성생활, 장거리 운전, 장시간 앉아서 일을 한 후에는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기타 증상으로는 팔다리저림, 허리 통증 등의 이상을 보이기도 합니다.항문을 통해 직장 수지 검사를 실시하여 전립선의 촉감을 확인하고 전립선 마사지를 통해 전립선액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전립선액, 소변 혹은 정액에서 세균과 백혈구의 증가를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으며 배양검사에서 균이 자라면 세균성으로 진단하게 됩니다. 검사 결과 위음성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반복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들을 배제하기 위해 혈액검사나 영상의학 검사 또는 내시경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지만 만성 전립선염에서는 대개 정상 소견을 보입니다.
전립선염은 크게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세균성 전립선염과 그 원인이 아직 규명되지 않은 비세균성 전립선염으로 구분되며 원인균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가 가능합니다.
항생제에 반응을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트리코모나스균에 효과적인 메트로니다졸과 항진균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요도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전립선관내로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알파차단제를 함께 투약할 수 있으며 이는 증상을 완화시켜주고 재발을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전기자극치료 및 바이오 피드백 치료로 통증을 완화하고 긴장된 외요도 괄약근을 이완시킬 수 있으며, 방광경부 및 전립선 요도의 강직으로 인한 기능적 폐쇄가 있을 경우에는 교감신경차단제를 사용하여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음주, 흡연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좌욕이나 반신욕 등을 하는 것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주치의나 진단선생님의 의견이 엇갈리는 것은 당연할 수 있습니다. 즉 판단하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경과를 지켜보는 것도 한 방법이고 바로 약을 드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약은 보조적인 수단이며 보통은 자연스럽게 통증이나 불편감이 사라지고 이러한 이유에 치료를 다시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두가지 선택 모두 맞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혈구 수치가 높지는 않습니다. 항생제가 필요하다 보이지는 않구요. 소변을 볼 때 불편한 증상이 없다면 더더욱 약은 필요하지 않다 판단됩니다. 물론 현재 상태를 정확히 알고 계신 병원의 처방에 따라 약 복용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니 만약 약을 드시라고 하면 몇 일 드셔보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