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Youangel
Youangel

신라가 고려에게 항복할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후삼국 시대때 신라는 고려에게 싸움한번 하지 않고 나라를 넘겨준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같은 결정을 하게 된 배경은 어떻게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사실상 당시 신라의 군사력으로 고려에 대항해봐야 계란으로 바위치기였으므로, 소위 '개겼다가(?)' 옴팡 깨지느니 그냥 순순히 항복하는 게 더 낫다는 판단이었고, 상대가 왕건이었기에 이러한 선택은 결국 옳은 선택이 되게 됩니다.

  • 신라의 경순왕은 935년 고려 태조 왕건에 투항하여 신라는 멸망하였습니다. 신라가 고려에 투항할 수밖에 없는 배경은 우선 신라의 국세가 기울어 사직을 보존하기 어렵다고 인식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927년 후백제의 견훤의 공격 당시 신라는 제대로된 저항도 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리고 고려 태조 왕건은 백제와 대항하면서 신라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경순왕은 투항을 한다면 김씨 왕실 가문은 유지할 수 있으며, 신라 백성의 희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실제로 경순왕은 투항 이후 경주의 사심관으로 경주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유지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