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지구에서의 시간과 초기우주의 시간은 왜 차이가 나는지 쉽게 설명해주세요.

최근 호주와 뉴질랜드 연구팀이 퀘이사 관측 데이터를 분석한 걸 보면

빅뱅 후 10억년이 흐른 뒤 우주에서 시간이 현재보다 5배 느리게 흐르는 현상을 확인했다고 하는데요.

마치 영화 인터스텔라 같은데요.

지구에서의 시간과 초기우주의 시간은 왜 차이가 나는지 쉽게 설명해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서의 시간과 초기 우주의 시간의 차이는 주로 우주의 팽창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주의 탄생 이후, 초기에는 우주가 심하게 팽창하였습니다. 이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설명되는데, 우주의 팽창으로 인해 시간 역시 변화하게 됩니다.

      팽창하는 우주에서는 공간과 시간이 함께 넓어지게 되는데, 이를 우주 팽창의 확장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초기 우주에서는 우주의 팽창이 매우 빠르게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초기 우주의 시간이 지구에서의 시간과 차이가 발생하였습니다.

      즉, 초기 우주의 시간은 우주의 팽창 속도에 따라 더 느리게 흘렀기 때문에, 지구에서의 시간과는 다른 속도로 흘렀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간이 지남에따라 우주는 계속 팽창하고, 이로인해 시공간의 크기대비 중력의 크기는 계속해서 감소하고있습니다.

      중력이 큰 시공간일 수 록 시간이 느리게흐르는 상대성 이론에따라 물질이 비교적 모여있는 초기우주에서 시간이 느리게 흐르게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간의 흐름은 상대성 이론에 따라 관찰자의 상대적인 속도와 중력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우주의 초기와 지구에서의 시간 차이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비틀림: 우주의 초기에는 매우 거대하고 질량이 많은 천체들이 많이 모여 있었습니다. 이는 우주 공간을 곡률시켜 시간의 비틀림을 초래합니다. 따라서 고도로 곡률된 우주에서의 시간은 비교적 일정한 곡률이 적용되지 않은 지구에서의 시간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 중력: 매우 강력한 중력은 시간의 흐름을 느리게 만들 수 있습니다. 더 질량이 많은 천체에 위치한 지역은 중력이 더 강력하므로 시간이 상대적으로 느리게 흐릅니다. 초기 우주에서는 밀집하고 거대한 천체들이 존재했기 때문에 그 영향으로 인해 시간의 흐름이 더 느렸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초기 우주에서의 시간은 지구에서의 시간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더 느리게 흘렀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인터스텔라와 같은 영화에서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상대성 이론은 우주와 시간 간의 복잡한 관계를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며, 현대 물리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최근 호주와 뉴질랜드 연구팀이 퀘이사 관측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빅뱅 후 10억년이 흐른 뒤 우주에서 시간이 현재보다 5배 느리게 흐르는 현상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이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강한 곳에서는 시간이 느리게 흐릅니다. 빅뱅 후 10억년이 흐른 뒤 우주는 매우 빠르게 팽창하고 있었기 때문에, 중력이 강했던 곳에서는 시간이 더 느리게 흐르게 됩니다.

      지구는 빅뱅 후 10억년이 흐른 뒤에도 팽창하는 우주에 위치하고 있지만, 태양계의 중력에 의해 잡혀 있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은 거의 변하지 않습니다. 반면, 퀘이사는 매우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더 중력이 강한 우주 공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퀘이사에서 측정된 시간은 지구에서 측정된 시간보다 5배 느리게 흐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