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를 막았을때 정말로 외국인들이 많이 빠져나갔나요
우리나라가 공매도를 막았을 때 증시가 엄청 급등했었잖아요. 그런데 하루만 오르고 끝났었는데
들어보니 공매도가 재개되면 외국인들이 많이 들어올거라고 하더라고요.
공매도 막았을 때 실제로 외국인들이 우리 증시에서 많이 이탈했었나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감소했었습니다.
2023년 11월 부터 시행된 공매도 전면 금지에 여파로 11월 한달 동안 외국은 거래 비중은 7%정도 감소하였고, 거래대금은 전월 대비하여 20% 급감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공매도를 막았을 때에 외국인들이 많이 빠져나갔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공매도 역시 투자의 한 방법인데 이를 막았기 때문에
빠져나간 외국인 투자자들이 제법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제로 꼭 그렇지는 않았습니다
또한 반대로 공매도를 재개했을 때 외국인 자본이 들어오기 보다 적극적인 공매도 활용으로
증시를 아래로 이끌었습니다
현재도 시총 상위주식들은 햇징이 가능하지만 더 아래쪽에 있는 기업들은 공매도 공격을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한국 증시에서 공매도 금지가 외국인 투자자의 이탈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살펴보면, 실제로 공매도가 금지된 시점에 외국인 투자자들의 비중이 줄어들었다는 통계와 분석들이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헤지 전략(위험 회피)을 활용하며 공매도를 자주 사용합니다.
공매도가 금지되면 투자 전략에 제한이 생기기 때문에, 특정 종목이나 시장에 대한 투자를 꺼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공매도를 막았을 때 외국인 투자자들이 우리 증시에서 어느 정도 이탈한 경향이 있었습니다. 공매도는 글로벌 투자자들, 특히 헤지펀드와 같은 기관투자자들에게 리스크 헤지와 수익 창출 수단으로 중요한 도구인데, 이를 금지하면 매력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공매도 금지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들은 자금 운용의 유연성을 잃게 되고, 다른 시장으로 자금을 옮기는 경우가 발생했습니다. 다만, 공매도 재개가 외국인 자금 유입으로 이어질 것인지에 대해서는 시장 상황, 환율, 금리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니, 공매도만이 외국인 자금 유입의 유일한 변수는 아닙니다.
따라서 공매도 재개 시 외국인 자금 유입 가능성은 있지만, 이는 전반적인 시장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공매도가 막히자 국내 공매도 거래를 하던 외국인 투자자들이 많이 빠져나갔는데, 오히려 긍정적으로 바라본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다시 공매도가 시작되면 외국인들이 유입될 수는 있지만 그게 꼭 긍정적으로 작용하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부작용이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작년 외국인 투자자금이 국내 증시에서 지속적으로 국내 주식을 매도하고 우리나라를 이탈하는건 공매도 금지 영향보다는 원달러환율의 상승 영향이 훨씬 큰 상황입니다 공매도를 막았다고 직접적으로 국내 증시를 떠난다기 보다는 국내 증시의 투자를 꺼려하는 이유 중 하나 정도 아닐까 싶습니다
작년 국내 주식시장은 돈벌기가 너무 어려운 시장이었습니다 저도 수익률이 별로라 답답하네요
질문자님은 대응 잘 하셔서 큰 수익 보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올해 한해 하시는 일 다 잘되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많이 받으세요!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 제한 시 외국인 투자자들의 이탈은 일부 있었지만, 증시흐름은 공매도 외에도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