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황 관련 질문드립니다.
유튜브 영상을 보다보니 우리나라도 금리 인상과 더불어 일본의 부동산 버블 붕괴처럼 부동산 장기 하락이 올 것 같다는 얘기가 있네요. 혹시 추후에 금리가 하락하면 2020~2021년의 고점을 다시 돌파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아니면 일본처럼 다시 고점을 돌파하지 못한채 계속 하락하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로서는 미래의 사항을 정확히 가늠할 수는 없겠습니다.
금리인상이 진행중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고금리 체제하에서 우리 부동산 주택시장이 수요정체ㆍ거래침체ㆍ가격하락으로 이어지고 있지만, 경기는 살아서 움직이고 순환하기때문에 금리가 정점을 찍고 하향조정되어 질때에 어떤 방향성을 갖게될지는 지금으로서는 알 수가 없겠습니다.
그러나 예상컨데 2021년도 같은 거침없는 상승은 어려울 것 같다고 추정됩니다.
그렇다고해서 일본같은 폭락은 상황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일어나지는 않을 것입니다.
개인적인 원론적인 답변이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답변에 갈음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과 같은 부분은 미래에 일이기에 정확한 예측은 힘듭니다, 다만 현재 우리나라상황과 당시일본과의 상황은 조금 다르며, 일본과 같은 버블 붕괴까지는 오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현재 금리인상자체가 너무 급하게 올랐기에 부동산시장도 가파르게 하락하였고, 금리인상도 조만간 멈추것으로 예상되어 지기 때문입니다. 다만, 경기침체가 길어질 경우 유동화채권의 부실화등 문제가 될수 있는 부분은 분명있지만 충분히 극복가능한 부분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서정호 공인중개사입니다.
아직 저점도 보이지 않는데 부동산 고점을 거론 하기는 좀 이른감이 있네요 하지만 과거를 살펴 보면 대략 99-20 저점, 25-26고점, 10-12 저점, 20-21고점 이렇게 되네요 따라서 이번에도 대략 적으로 7~10년 정도 보면 다시 고점이 오지 않을까 싶네요
부동산도 경기 와 마찬가지로 싸이클이 있어 거기에 따라 움직입니다 많이 오르면 많이 내리고 또 오르는 기간이 길다면 그만큼 하락기도 길어 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