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은 왜 앞으로 걸어 다닐때 목을 앞뒤로 움직여야만 하나요 ?
안녕하세요. 저도 새를 키우고 있고 길거리에서 지나다니는 비둘기, 까치, 까마귀 들을 보다보면 꼭 앞으로 이동할때 머리를 앞 뒤로 흔들더라고요 ? 무게중심? 같은 걸 유지하려고 그러는 건가요 ? 뭐때문에 ( 무슨 기관때문에 ) 그러한 행동을 하는건지 구체적으로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
새들이 걷는 동안 머리를 앞뒤로 움직이는 행동은 주로 시각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행동 패턴은 시각 정보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주변 환경을 관찰할 수 있게 합니다. 새들의 이러한 머리 움직임은 특히 동적인 환경에서의 시각적 초점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새들이 앞으로 걸을 때 목을 앞뒤로 움직이는 이유는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입니다. 감사합니다.
새들이 걸을 때 목을 앞뒤로 움직이는 행동은 주로 시각적 안정성과 에너지 효율성을 위한 것입니다. 새의 눈은 머리에 고정되어 있어 목을 움직여 시야를 확보해야 합니다. 걸음을 뗄 때마다 머리를 앞으로 뻗어 주변을 관찰하고, 다음 걸음을 위해 몸을 앞으로 움직일 때는 머리를 뒤로 당깁니다. 이 과정에서 머리는 공중에 잠시 정지한 것처럼 보이며, 이를 통해 안정된 시야를 확보합니다. 또한, 이러한 움직임은 에너지를 절약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머리를 앞뒤로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운동량이 몸의 전진 운동을 보조하여 전체적인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새의 독특한 해부학적 구조와 진화의 결과입니다.
안녕하세요. 비둘기, 닭 등의 조류가 고개를 앞뒤로 흔들면서 걷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간의 경우 눈에 맺히는 상이 평면이지만 그 깊이를 지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양쪽 눈이 모두 앞을 향하고 있는 인간과는 다르게 조류의 경우 눈은 대체로 옆쪽에 달려 있습니다. 이처럼 눈이 양 옆을 향할 경우에는 양 눈의 시야가 거의 겹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공간의 깊이를 지각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걸으면서 다리의 위치가 변할 때는 머리를 고정해두고, 다리가 멈추었을 때에는 머리를 움직이면서 눈으로 보이는 상의 변화로 물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새들이 앞으로 걸어 다닐 때 목을 앞뒤로 움직이는 이유는 그들의 척추 구조와 움직임에 기인합니다. 새의 목은 길고 유연하며, 척추뼈 사이에 많은 수의 두꺼운 인대가 있습니다.
이러한 목과 척추 구조는 새가 비행하는 동안 머리를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지상에서 걸어다닐 때는 머리를 앞으로 향하게 유지하기 위해 목을 앞뒤로 움직여야 합니다. 이런 움직임은 새가 시야를 조절하고 주변 환경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또한, 앞뒤로 목을 움직이는 것은 새의 보행 운동 패턴에도 관련이 있습니다. 새들은 전반적으로 앞으로 걸어갈 때 몸을 앞당기고 다리를 사용하여 밀어 나가는 방식으로 움직입니다. 목을 움직이는 것은 이 움직임에 도움을 주며,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보행 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비둘기 같은 조류가 걸을 때 마치 머리를 흔드는 듯 한 모습을 보이지만 실제로는 머리는 거의 고정하고 몸이 움직이는 것입니다.
첫번째 이유는 시선의 고정입니다.
비둘기 같은 조류는 안구 근육이 발달하지 않아 물체를 자유롭게 볼 수 없는데 걸을 때마다 머리가 같이 움직이면 초점이 흐려지기 때문에 머리는 시선을 고정하여 물체를 바라보며 몸만 움직이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추진력입니다.
거의 고정된 머리지만 말씀대로 앞으로는 내뻗는데, 새의 다리는 몸집에 비해 매우 얇기 때문에 그 다리로 몸을 지탱하며 걷는다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균형을 유지하며 걷기 위해 머리를 앞으로 내밀면서 추진력을 얻는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새들이 걷는 동작 중 목을 앞뒤로 움직이는 이유는 그들의 해부학적 특성과 걷는 방식에 기인합니다. 새들은 전체 몸을 균형있게 유지하기 위해 걷는 동안 목을 앞뒤로 움직여야 합니다. 목을 앞뒤로 움직이면서 머리를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면서 걷는 것이 새들에게 더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방법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