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

임진왜란 당시 신립의 패배는 제승방략 체제의 영향이 있었나요?

저는 지금까지 신립(그리고 이일)의 패배는 조총 및 병력의 열세가 주요 이유였다고 알고 있었어요. 그런데 역사학적으로 접근하는 사람들은 당시 조선의 방어체제 제승방략이 패배의 원인이었다고 주장하기도 해요. 혹시 이 말이 맞다면 신립의 패배가 어떻게 제승방략과 연결이 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블루베리산딸기요거트
      블루베리산딸기요거트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립의 패배가 제승방략과 연결되는 이유는, 제승방략이 조선의 방어 전략 중 하나로, 군사들이 각 지역의 거점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적이 침입하면 해당 지역의 군사들이 출동하여 방어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신립이 충주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친 것은, 제승방략의 원칙과는 맞지 않는 행동이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탄금대 전투의 패배는 임진왜란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제승방략으로 대표되는 당시 방위체제의 근본적인

      헛점이 제대로 찔란 결과 중차대한 전투가 패전으로 끝나고 말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만약 신립 장군이

      문경세제에 축차적으로 방어진을 편성하였다면

      어땠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랬으면 일본군이

      그렇게 빨리 북상 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제 생각에는 전술적 패배입니다. 신립의 기병은

      여진족을 상대하던 조선의 정예였습니다. 그런데

      한판의 승부로 적을 상대하려 하였다는 것은

      적을 너무 만만하게 보았거나 아예 모르는것

      입니다. 제승방략 체제의 문제가 아니라 신립장군의

      판단의 전략적 실패라고 생각합니다. 방어 할 때는

      지형지물을 최대한 이용해야 하는것은 병법의 기본

      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