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깍듯한푸들251
깍듯한푸들251

요시다 쇼인의 정한론은 이토 히로부미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나요?

요시다 쇼인의 정한론은 이토 히로부미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나요?

요시다 쇼인 이란 인물이 정한론 이란 이론을 만든 후 이토 히로부미 등 여러 제자를 두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들은 적이 있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견실한시라소니109
      견실한시라소니109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요시다 쇼인은 일본이 서구 열강의 압박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조선은 물론이고 만주와 중국을 정복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고 이것이 후에 이토히로부미 등이 조선을 침략하는데 정당화되었다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0년 일본의 시사잡지 〈日本及日本人〉는 이토 히로부미가 사이고 다카모리에게 닭을 바치는 모습을 그린 삽화를 실었다. 이 삽화의 왼쪽 상단에 “韓國倂合完成‘이라는 제목이 기재되어 있으며 날짜는 1910년 8월 28일로 되어 있었다. 이것으로 미루어 이 잡지가 한국병합에 즈음하여 이 삽화를 게재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삽화에 이토가 등장하지만 당시 이토는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다. 그림 속의 닭은 조선을 상징하고 있으며 그림은 이토가 저승에 가서 사이고에게 조선을 바치고 있는 것을 묘사한 것이었다.


      이 삽화에 이토와 함께 등장하는 사이고 다카모리는 메이지유신의 주역이었다. 사이고는 1870년대 초 조선과의 서계문제를 둘러싸고 정한론 소동이 벌어졌을 무렵 정한론을 강경하게 주장한 인물이었다. 심지어 이 문제를 둘러싸고 반정부군을 조직하여 이른바 세이난전쟁(西南戰爭)을 벌이기까지 하였다. 사이고는 이 전쟁에서 패배하고 자결하였다.


      한편 이토는 정한론 소동 당시 사이고 다카모리와는 달리 정한론에 반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정한론자들이 떠나가자 그들의 빈 자리를 메워 참의 겸 공부경(工部卿)으로 영전하기까지 하였다. 즉 정한론 소동 당시 이토는 사이고의 정적이었던 셈이었다. 이토가 정한론에 반대하였다고 하더라도 조선에 대해 우호적인 생각을 하고 있었던 것은 결코 아니었다. 조선 침략이라고 하는 기본방침은 마찬가지였다. 다만 시기와 방법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을 뿐이었다.


      이후의 역사가 말해주듯이 이토는 일제의 조선 침략을 사실상 완성한 인물이었다. 사이고가 일찍이 주창했던 정한론은 비록 많은 시간이 걸리기는 하였지만 이토에 의해서 실행된 셈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위 삽화에서는 이토가 메이지 유신 당시 동지였던 사이고에게 조선을 바친 것으로 묘사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