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외로운침팬지184
외로운침팬지184

학교역학시간에 항복응력에대해 예기하던데 항복응력이 뭔지궁금해요

학교 역학시간에 항복응력에 대해 예기하던데 항복응력이 뭔지가 궁금해요. 혹시나 아시는분 계시면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젊은매미372
    젊은매미372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떤 물체에 응력을 가하여 변형시킬 때 응력이 작을 때는 응력에 비례하여 변형(탄성변형)이 되고 응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응력이 어떤 한계를 넘었을 때 변형이 급격히 증대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 현상을 항복이라 하고 그 한계응력을 그 물질의 항복응력 또는 단지 항복값 또는 항복점이라고 한다.

    출처:항공우주공학용어사전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질은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힘이 가해지면 변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탄성 변형 내에서 이루어진 변형은 능력이 없어지게 되면 원상태로 돌아오지만 탄성 한계를 넘어서는 힘에서는 더 이상 원상태로 돌아오지 않습니다 이렇게 탄성 한계를 넘어서 힘이 제거되어도 원상태로 돌아오지 않는 능력을 항복 응력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떤 물체에 응력을 가하여 변형시킬 때 응력이 작을 때는 응력에 비례하여 변형(탄성변형)이 되고 응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응력이 어떤 한계를 넘었을 때 변형이 급격히 증대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 현상을 항복이라 하고 그 한계응력을 그 물질의 항복응력 또는 단지 항복값 또는 항복점이라고 한다.


    항복응력 이상에서는 물체 내부에 미끄럼이 생기기 때문에 응력을 제거하여도 물체는 먼저의 모양으로 되돌아가지 않고 영구변형이 남는다. 이것을 (가)소성이라 하고 그 변형을 소성변형이라고 한다. 또한 소성을 나타내는 물체를 소성체라고 한다.


    고분자의 고농도용액이나 콜로이드의 고농도 분산액의 유동에 있어서도 항복현상이 나타난다. 즉, 가해지는 전단응력이 작은 경우는 유동하지 않고, 어떤 값 이상의 전단응력에 의해 비로서 유동을 일으킨다. 정지상태에서의 분자 또는 입자 사이의 구조형성(→ 구조점성)이 강하고 그 구조를 파괴하여 유동을 일으키게 하기 위해서는 일정값 이상의 전단응력을 가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