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우리나라에서 돼지를 잘 기르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가 본격적으로 대량의 양돈 사업을 시작한 것은 1970년대 들어서였고 그 이전에는 돼지고기의 소비 자체도 적었다고 하 는데 고대 이래로 우리나라가 돼지 사육을 많이 하지 않은 것과 돼지의 생태와는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돼지는 사육할때 많은 사료가들고
    특히 좋은사료를 주어야 육질이 좋아지기때문에
    가난했던 대한민국초창기에는
    돼지를 키울수있는 조건이 안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산악지형과 좁은 사육공간이 많아서
    돼지와같은 가축을 대규모로 사육할만한 환경이 부족했다고합니다.

    또한 잡식성 동물이라 다양한사료를 먹지만
    생산적인 돼지사육을 위해서는 영양이 풍부한 사료가 필요하다고합니다.

    우리나라는 625전쟁이후 사람먹을 음식도 부족했기때문에
    사료가 많이필요한 돼지를 키우기는 어려웠다고합니다.
    사료효율이 너무나도 낮기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돼지 사육이 적었던 것은 주로 농업 구조의 시문화 떄문입니다.

    주로 쌀농사 중심으로 농업이 이뤄져 돼지가 키우면서 소비할 식량이 없었던거죠

  • 우리나라에서 돼지를 많이 기르지 않았던 이유는 돼지의 생태적 특성과 농경 문화의 영향이 큽니다. 돼지는 물과 사료의 공급이 중요하며, 오염이나 냄새 문제가 있어 인구 밀집 지역에서는 기르기 어려운 점이 있었습니다. 과거 우리나라의 농경 사회에서는 소가 농사에 필수적인 역할을 했기 때문에, 가축 사육의 초점이 소에 맞춰졌고 돼지는 비교적 부수적인 가축으로 취급되었습니다. 또한, 돼지고기의 소비가 적었던 것은 육류 보다는 곡물과 채소 위주의 식단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입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산업화와 더불어 사료 및 사육 기술이 발달하여 양돈 산업이 본격화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