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고마운가젤288
고마운가젤28821.10.11

재신경치료에 대해 여쭈어봅니다!!!0

3년전에 충치로 인해 신경치료 후 평상시에는 통증이 없다가 씹을때 통증이 생겨 치과에 내원하였습니다 x레이 촬영후 선생님께서 x레이 촬영 사진을 보시고 전에 신경 치료를 했던곳에 염증이 있다고 하셨고 신경치료가 약간 덜 된 것 같다고 파노라마 보고 말씀해 주신 상태입니다 보통 재신경 치료 성공률이 많이 낮다고 하던데 지금 같은 경우에는 물론 크라운을 뜯어 크랙을 확인도 해야겠지만 파노라마에도 확연히 들어나는 신경치료가 덜 된 상황이면 재신경치료 들어가는게 맞을까요?? 보통 재신경치료하고 실패율이 상당히 높아 발치 후 임플란트 하는 과정으로 많이 한다고하여 괜히 2번 고생하는거 아닌가 걱정되어 문의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통 신경치료가 덜 되었거나 염증이 있더라도 염증이 더이상 커지지 않는다면 추적 관찰만 합니다. 하지만 현재 씹을 때 마다 통증이 존재하므로 재 신경치료를 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일단 통증을 조절하는 것이 좋고 뽑고 임플란트로 바로 나아가기에는 아까울 것으로 보이며 일단 신경치료를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신경치료를 하여 감염과 염증을 제거한다 하더라도 감염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100%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신경치료 후 장기간이 지나며 감염이 재발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재발된 경우에는 신경치료 전보다 세균의 독성과 내성이 강하여 감염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고 이미 신경치료된 치아의 상태로 인해 신경치료 자체의 난이도가 높아진 상태이므로 첫 신경치료 때의 성공률(90% 이상)보다 재신경치료의 성공률(50% 이하)이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치과의사 입장에서도 재신경치료를 하는 것보다 발치를 하고 임플란트를 하는 것이 훨씬 편하고 수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신경치료를 하는 이유는, 가능한 치아를 발치하지 않고 보존하여 조금이라도 치아의 수명을 연장하고자 하는 노력입니다.

    임플란트 역시 영구적인 치료는 아니며 본래의 치아에 비해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본인의 치아를 살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면 시도해 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이전에 신경치료된 길이가 짧아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오히려 충분한 길이까지 신경치료를 다시 하게 되면 예후가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신경치료를 한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치근단염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통증이나 증상이 있다면 재신경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으나, 성공률은 50%이하입니다.

    만약 신경치료를 하여도 염증이 지속될경우 발치후 임플란트를 해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