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도 이산화탄소를 배출 할까요??
안녕하세요.
우리 인간은 호흡을 하면서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잖아요.
지구상의 거의 모든 동물들은 이럴것 같은데,
식물들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만 하나요??
궁금합니다..
식물은 광합성을 할때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합니다.
식물도 동물과 마찬가지로 호흡을 하기때문에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 탄소를 배출합니다 ㅎ
물론 호흡으로 배출하는 이산화 탄소의 양은 광합성으로 흡수하는 양보다 극히 작은 양이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식물도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광합성을 안 하는 야간에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식물도 세포호흡을 하기 때문에 산소를 소모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다만 식물의 경우 세포에 엽록체를 가지며, 빛을 이용해 광합성을 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배출하는 것도 병행합니다.
그래서 빛이 많은 낮동안은 세포호흡으로 발생한 이산화탄소도 광합성에 사용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배출량보다 흡수량이 많습니다.
다만 빛이 없는 야간에는 광합성을 하지 못하므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늘어납니다.
하지만 그렇다 해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동물만큼 많지는 않습니다.
또 CAM형 광합성을 하는 CAM식물들의 경우 오히려 밤에 이산화탄소를 많이 흡수합니다.
네, 식물도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식물은 광합성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지만, 호흡 과정에서는 동물과 마찬가지로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합니다. 낮에는 광합성 작용이 우세해 순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많지만, 밤에는 호흡만 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됩니다. 또한 식물의 뿌리, 줄기, 열매 등에서도 호흡이 일어나며 이때 이산화탄소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식물은 순환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배출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식물도 호흡하는 생물중 하나입니다. 광합성 과정중 산소를 배출하나,
산물로 이산화탄소 또한 발생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네, 식물도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다만 지구상의 식물은 세포 호흡 과정에서 연간 1170억~1180억 톤에 이르는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만, 이보다 많은 1200억 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산소를 방출합니다. 식물이 인간과 마찬가지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에너지원인 ATP를 얻기 위한 세포호흡을 진행하면서 부산물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동물들은 호흡을 통해 산소를 흡입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반면에 식물들은 광합성 과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합니다.
하지만 식물도 일정량의 이산화탄소를 밤에 또는 광합성 과정 중에 일부분을 배출합니다. 이는 광합성 과정 중에 생기는 부산물로서, 밤에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는 시간에는 일부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식물도 에너지를 대사하여 대사산물로 이산화탄소를 만들어내기때문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해냅니다.
그래서 광합성을 하지않는 밤에는 오히려 산소생산보다 이산화탄소배출량이 더 많기도하죠.
그럼에도불구하고 하루 총 산소배출량은 이산화탄소 배출량보다 많기때문에 지구에 산소를 공급하고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생산자의 입장에 있는것입니다.
또한 광합성을하지 않을때에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다보니 공기정화식물로써 식물을 집에 잔뜩 들여놓고 키우시는 경우 오히려 밤에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임으로써 공기질을 낮추기도 합니다.
정리하자면 식물도 생장이나 번식, 방어를 위해 에너지 활동을하고 여기서 대사산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식물도 광합성을 하지 않을때엔 산소를 활용하여 에너지를 만들어 냅니다. 대사의 산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구요. 광 에너지가없는 저녁에 주로 이런 현상이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