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채권 가격은 잘 오르는데 미국 채권 가격은 왜 오르지 않나요??
작년에 한국채권과 미국채권 etf를 매수했는데 한국채 etf는 수익률이 좋은데 미국채 etf는 아직도 마이너스네요. 일반적으로 미국 경제가 우리나라보다 훨씬 좋고 미래에도 우리나라는 저출산 등으로 경제성장 전망이 안좋고 미국은 좋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왜 우리나라 국채가격이 더 잘 오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두 채권 모두 가격은 상승하는 중입니다
다만 미국 채권은 달러로 투자하기 때문에 국내 상장 ETF로 투자를 해도 달러와 연동이 됩니다
따라서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주식의 가치도 하락하기 때문에 채권이 상승해도
둘이 상계가 되어 오히려 하락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하하거나 통화 완화 정책을 시행하면 채권 가격이 오를 수 있습니다. 반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인상하거나 긴축적인 통화 정책을 유지하면 미국 채권 가격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채권 수익률이 상승하고 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반면, 한국의 인플레이션이 안정적이라면 채권 가격이 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채권 가격이 오르지 않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미국의 물가가 한참 올랐기 때문에
채권의 가격에 하락이 있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과 같은 경우에도 채권시장의 변동성이
최근까지도 상당하였습니다.
그리고 아무래도 환율 등에 따른 가격 변동도 있었던 등 하기에 이에 따라서
채권 또한 너무 단기적인 시각으로 투자를 하지 마시고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투자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채권과 미국 채권의 가격 차이는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첫째, 금리 변동이 채권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한국 채권의 매력도가 높아져 가격이 상승하는 반면,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빠르게 금리를 인상하면서 미국 채권 가격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은 팬데믹 이후 초저금리 정책을 펼쳐 채권 가격이 고점을 기록했으나, 이후 금리 인상으로 인해 하락폭이 커졌습니다.
둘째, 경제 상황과 투자 심리도 영향을 미칩니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안전 자산으로서의 한국 채권에 대한 선호가 높아질 수 있으며, 환율 변동 또한 채권 가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원화 가치 상승은 미국 채권의 가치를 상대적으로 낮추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셋째, 채권의 종류와 만기도 가격 변동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국채는 안정성이 높지만 회사채는 발행 기업의 신용도에 따라 변동성이 크며, 단기 채권은 금리 변화에 민감한 반면 장기 채권은 덜 민감합니다. 또한, ETF 구성 종목과 투자 전략에 따라서도 채권 가격 변동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한국과 미국 채권의 가격 차이는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 가격의 변동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미국과 한국의 채권 가격이 다르게 움직이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요소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금리 차이:
채권 가격은 금리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금리가 오르면 기존에 발행된 채권의 가격은 떨어지고, 금리가 내리면 채권 가격은 오릅니다.
경제 상황:
각국의 경제 상황에 따라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한국 경제가 안정적이고 물가 상승 압력이 낮아 중앙은행이 금리를 낮추는 정책을 취한다면, 채권 가격은 오를 수 있습니다.
환율 변동:
환율도 채권 가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원화가치가 상승하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채권을 매수하려고 하면서 채권 수요가 증가해 가격이 오를 수 있습니다.
반대로, 달러화 가치가 강세를 보이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미국 채권에 대한 매력을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기대:
인플레이션이 예상되면 채권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미래에 받을 이자와 원금의 실질 가치가 줄어들 것을 우려하여 채권을 팔게 되고, 이는 채권 가격 하락으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