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3.08.08

금융권을 1금융과 2금융으로 나누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금융권을 보면

국가에서 1금융, 2금융으로 나누고

사채급을 3금융이라 부르던데


왜 같은 은행이더라도 1금융과 2금융으로

나누어서 관리를 하는 것인가요?


금융권을 등급으로 나누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연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은 은행법의 적용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보장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입니다. 가장 큰 장점은 안정성이에요. 지점이 많고 거래가 편리한 것도 장점이죠. 대출 심사 조건이 비교적 까다롭지만 제2,3금융권보다 대출 금리가 낮고 예금 금리도 낮습니다.
    제2금융권의 경우에는 제1금융권과 반대로 취급하는 상품의 가짓수가 적고 대출 심사 조건이 비교적 덜 까다롭고 빠르게 대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요. 예적금 금리, 대출 금리 모두 높은 편이고 안전성은 제1금융권과 비교해 낮은 편에 속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법의 적용유무에 따라서

    금융기관을 나누는 것입니다.

    은행과 같은 경우 자본주의의 특성상

    상당히 중요하기에 따로 별도의 법을

    마련하여 운영하는 등 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권과 2금융권은 공식적으로 구분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보다 편리하게 이해하기 위해 구분한 것이 지금까지 일상적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1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는 기업을 의미하며, 반대로 은행법에 적용을 받진 않으나 다른 금융 관련 법이 적용되는 금융기업들을 2금융권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권을 1금융권과 2금융권으로 분류한 것은 '법'을 적용하는 기준에 의해서 분류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1금융권인 은행은 은행법의 기준을 적용받고 자본에 의한 기준이 더 엄격한 반면에 2금융권인 저축은행이나 캐피탈과 같은 경우는 여신전문업법에 적용을 받아서 자본의 규정이 조금 더 완화되어 있다고 합니다.

    1금융권만 있는 경우에는 자금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기 힘들지만 2금융권을 둠으로써 화폐의 공급과 자본이 필요한 이들에게 문턱을 낮추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은 입출금, 예금 등 기본적인 금융활동을 하는 금융기관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은행이 있습니다. 1금융은 일반적으로 고객으로부터 예금을 받아 이를 통해 대출을 제공하고, 이자를 받아 수익을 창출합니다.

    반면에 2금융은 주식, 채권 등의 금융상품을 판매하거나, 대출금을 투자하는 금융기관입니다. 2금융은 일반적으로 1금융보다 위험이 높은 금융활동을 수행하며, 따라서 규제 강화 대상으로 지정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1금융과 2금융은 각기 다른 규제와 제도가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