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청춘만화
청춘만화

미국의 한국산 HBM 대중 수출 통제, 반도체 산업에 어떤 영향 미칠까?

미국이 한국산 HBM과 반도체 장비의 대중 수출을 통제한다는데, 이게 우리 반도체 산업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삼성전자는 타격을 받을 것 같은데, SK하이닉스는 괜찮다고 하네요. 그리고 일본산 장비는 예외라는데, 이런 차별이 앞으로 글로벌 반도체 시장 판도를 어떻게 바꿀지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대중 수출 통제는 한국 반도체 산업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삼성전자는 중국 내 생산 공장의 운영과 관련해 일정한 제약을 받을 수 있어 경쟁력 저하가 우려됩니다. 반면 SK하이닉스는 이미 일부 규제에 대비해 기술과 공급망을 조정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국내 반도체 기업의 글로벌 전략 조정이 필수적임을 시사합니다.

    일본산 장비가 예외로 인정된 점은 한국 기업과 일본 기업 간 기술 격차를 확대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일본이 유리한 입지를 점할 가능성을 높이며, 한국의 기술 자립과 대체 공급망 확보가 더욱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앞으로 이러한 변화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협력 구조를 재편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 정부가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수적인 고대역폭 메모리(HBM)의 대중국 수출을 통제하면서, 한국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적층한 고성능 메모리로, AI 가속기 운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번 조치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의 중국 수출이 제한될 전망입니다.

    특히, 미국은 반도체 제조 장비 24종과 소프트웨어 3종에 대한 수출 통제도 강화했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 기술을 활용해 장비를 생산하는 한국 기업들의 중국 수출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반면, 일본과 네덜란드 등 33개국은 미국과 유사한 수출 통제 제도를 운영한다는 이유로 이번 규제에서 예외를 인정받았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기업들은 중국 시장에서 경쟁 시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놓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조치가 국내 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대부분의 HBM을 미국 기업인 엔비디아에 공급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의 중국 수출 비중도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약화와 수출 감소 등의 부정적 영향이 우려됩니다. 따라서 한국 기업들은 수출 다변화와 기술 혁신을 통해 이러한 도전에 대비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