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사람입니당
사람입니당

긴축이라는 정책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긴축이라는 말을 경제 뉴스에서 본 것 같은데 따로 용어에 대한 설명도 없고 이해하기 쉽지 않은 내용이 많아서 지금 상황이랑 엮어서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긴축은 strict economy, constraction 등으로 표현됩니다. 단어가 의미하는 것은 뭔가 바짝 조여서 누수가 생기지 않게 하는데 있는데 긴축 재정, 긴축 정책 등은 이러한 국가 재정을 타이트하게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령, 지난 2020년 5월 코로나 판데믹 이후 각국 정부는 경제가 돌지 안아 재난지원금, 제로금리 정책 등을 시행했는데 대표적인 긴축 완화 정책 또는 확대재정정책이라고 할 수 있고 그간 풀어 놓은 유동성(=돈)을 회수 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거나 국공채를 매각하여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게 됩니다. 이런 정책을 긴축정책이라고 합니다. 특히나 요즘 같은 고물가, 고환율 상황 하에서는 에너지와 곡물 등 필수재의 공급이 제한적이라 수요 측면을 위축 시켜 가격 하락을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한데 대표적인 정책들이 앞서 말씀 드린 금리 인상입니다. 시중의 유동성을 흡수하여 금융자산이나 부동산의 상승을 제어하고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데 주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개인 입장으로 좁히자면 경기가 어려워지고 대출금리가 상승하여 가처분 소득이 줄어 들면 외식비를 줄이는 등 씀씀이를 절약하곤 합니다. 이걸 국가 차원으로 확대한 게 긴축재정 정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긴축정책이라는것은 경기가 활발해지면서 시중의 통화량이 증가하여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는것에 따른 물가상승요인으로 코로나 장기여파로 인한 화폐가치하락으로 발생된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서 세금 및 금리인상등의 정책을 펼치는것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마디로 시중에 너무 많은 통화량이 풀렸고 이에 따라서

      물가상승률이 높아지자 미국 내에서부터 시작된 긴축정책이 시작된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금리인상 등이 있습니다.

      긴축이란 한마디로 시중의 통화량을 바짝 줄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