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 하루에도 몇천개씩 지구로 떨어 진다고 하는데 왜 발견이 안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밤하늘의 별을 보고 있으면 별똥 별이 떨어 지는 장면을 목격 할수 있습니다. 저도 어릴적에 시골에 살아서 인지 밤에 별똥별을 많이 받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하루에도 몇천개씩 별똥별이 지구로 떨어 진다고 하는데 별똥별이 발견되는 것은 극 소수라고 들었습니다. 왜 발견이 잘 안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별똥별이라고 부르는 유성체는 대기권에 진입할 때 엄청난 속도로 대기와 마찰을 일으키며 빛을 발산합니다. 하지만 그 대부분은 크기가 매우 작습니다. 많은 유성체들은 쌀알 정도의 크기이거나 그보다 더 작은 먼지 크기입니다. 이러한 작은 유성체들은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마찰로 인해 완전히 타버리기 때문에, 지표에 도달하지 않고 사라집니다. 따라서 눈으로 발견하기 어렵고, 지상에 흔적을 남기지 않기 때문에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성체가 대기권에 진입할 때, 공기와의 마찰로 인해 엄청난 열이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유성체는 이 열에 의해 완전히 소멸되고, 지표까지 도달하지 못합니다. 이 때문에 실제로 지구 표면에 도착하는 운석은 유성체에 비해 매우 적습니다. 우리가 밤하늘에서 관측하는 별똥별은 대기 중에서 타버린 것이며, 대부분의 유성은 지구 표면에 도달하지 않고 소멸됩니다. 별똥별을 관측하려면 맑은 밤하늘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도심 지역에서는 빛 공해로 인해 별똥별을 보는 것이 어렵습니다. 또한, 구름이 많거나 날씨가 흐린 날에는 유성을 관찰하기 힘듭니다. 시골이나 산간 지역처럼 하늘이 맑고 빛 공해가 적은 지역에서는 별똥별을 더 자주 볼 수 있지만, 이런 조건을 갖추지 않으면 별똥별을 관찰할 기회가 적어집니다. 별똥별은 보통 유성우 같은 천문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유성우는 특정 기간 동안 특정 방향에서 많은 유성들이 떨어지는 현상으로, 이 시기에는 평소보다 많은 별똥별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성우가 없는 평소에는 유성 활동이 상대적으로 적고, 이로 인해 별똥별을 자주 발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별똥별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간과 장소에서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유성들은 새벽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밤이 깊어질수록 더 많이 관측됩니다. 따라서 밤하늘이 어두운 시골 지역이나 산간 지역에서, 구름이 없는 밤에 관측해야 별똥별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