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막스웨버의 자본주의 정신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막스웨버의 자본주의 정신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 당시 사회적 현실은 어떠했는지 알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합리적 자본주의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이다. 베버에 따르면, 이윤추구 동기에 의해 작동하는 ‘모험가적’ 자본주의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어느 시대 어느 곳에나 존재했다. 서부 유럽이 매우 독특했던 점은 모험가적 자본주의와 구분되는 ‘합리적’ 자본주의의 출현에 있다.

      베버는 서구의 합리적 자본주의의 특징적 현상으로 ‘형식적이고 자유로운 노동의 합리적인 자본주의적 조직화’와 ‘정기적 시장에 맞추어진 합리적 산업조직의 존재’ 등을 들고 있다. 그는 이러한 합리적 자본주의가 가능하기 위해 무엇보다 사람들의 생활양식이 변화되어야 한다고 보았는데, 서구에서 생활양식의 변화를 가져온 것이 바로 ‘자본주의 정신’이다. 베버는 근대적 자본주의를 낳은 것, 그리하여 합리적 자본주의를 가능케 한 것은 좀 더 근원적인 면에서 합리적 정신, 생활태도의 합리화, 그리고 합리적인 경제윤리 등, 한마디로 ‘자본주의 정신’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본주의 정신 [Geist des Kapitalismus, spirit of capitalism, 資本主義情神]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단정한낙지284
      단정한낙지284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막스 베버(Max Weber)는 자본주의를 주요 주제로 한 연구가로 알려져있습니다. 특히 자본주의의 전통적 이해가 아니라 다양한 관점에서 자본주의를 대표하는 윤리적, 문화적 가치에 관심이 있었는데요. 베버에게 '자본주의'는 그 이전에 주로 간주되었던 정치경제학의 개념이 아니라 문화적, 사회학적 개념으로서 현대 자본주의는 유럽의 역사적 발전의 피할 수 없는 결과이며 다시 예전으로 돌아갈 길은 없다고 보았습니다.

      특이 막스의 저서 "개신교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웨버는 이윤 획득을 위한 열망으로서 자본주의에 대한 관점을 부정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 베버의 분석은 서구 자본주의를 형성하고 있던 정치적, 경제적, 종교적 구조의 결합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요 유럽 자본주의의 기초는 베버가 종교, 특히 개신교에서 보았던 소유에 대한 욕망을 나타내지만 이는 매우 합리적인 욕망이라고 보았습니다. Weber에 따르면 자본주의가 개신교에서 비롯되었다는 시선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베버는 서구의 합리적 자본주의의 특징적 현상으로 형식적이고 자유로운 노동의 합리적인 자본주의적 조직화, 정기적 시장에 맞추어진 합리적 산업조직의 존재 등을 들고있으며 그는 이러한 합리적 자본주의가 가능하기 위해 무엇보다 사람들의 생활양식이 변화되어야 한다고 보았는데, 서구에서 생활양식의 변화를 가져온 것이 자본주의 정신으로 베버는 근대적 자본주의를 낳은 것, 그리하여 합리적 자본주의를 가능케 한 것은 좀더 근원적인 면에서 합리적 정신, 생활태도의 합리화, 합리적 경제윤리 등 자본주의 정신에서 찾을수 있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근대 자본주의의 기원을 근대 산업혁명과 계몽주의와 합리주의가 아니라, 영국과 미국의 청교도 전통에서 찾았다고 합니다. 그는 ‘근대 노동 윤리’와 ‘물질적 성공에 대한 지향성’은 시장의 관심과 사업에 대한 기민한 감각, 그리고 기술혁신이 아니라, 16-17세기 영국과 미국에서 활동하였던 칼뱅주의, 감리교, 침례교 등의 개신교가 지니고 있던 ‘윤리’에서 나왔다고 말합니다. 그들의 윤리와 종교의 자유를 확보하고자 했던 그들의 투쟁이 다른 모든 인권을 확보하는 데 디딤돌이 되었다고 말하지요. 이 논증으로 인해 이 책은 발표 당시에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그 격렬함은 오늘날에도 전혀 식지 않고 있다 합니다. 그의ㅣ 어머니 헬레네 팔렌슈타인(Helene Fallenstein)은 절대적인 도덕 신념을 견지한 칼뱅주의 개신교도 였습니다. 베버 1세가 공직 생활을 하면서 그의 가정도 정치와 가까워졌으며, 그의 살롱에서는 여러 저명한 학자와 유명 인사가 드나들었다고 합니다. 베버는 어머니의 인생관에 강한 영향을 받은것으로 보여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