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심리상담

기타 심리상담

단팥소보로크림빵
단팥소보로크림빵

사람의 뇌에서 작용하는 치매단백질이라고 있다고 하던데 치매단백질은 무엇인가요?

사람은 나이를 들어가면서 제일 두려워하는것으로 치매라고 하는것 같아요. 사람이 늙어가면 뇌에 작용한다는 치매단백질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작성된 댓글은 참조만 하시고, 필요시에는 전문가와 대면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말씀하신 단백질은 아마 베타-아밀로이드 나 타우(tau) 단백질을 말씀하시는 듯 합니다만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군에서 뇌에 축적이 관찰이 되는 것은 맞는데

    그게 원인인지는 , 어떤 작용을 하는지는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 치매는 노년기에 흔히 나타나는 신경퇴행성 질환 중 하나로, 주로 기억력, 사고력, 의사결정 능력 등이 저하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치매를 유발하는 주요 단백질로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beta, Aβ)와 타우(Tau) 단백질이 있습니다.

    이 두가지를 쉽게 설명해서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치매단백질'로 표현된 것 같습니다.

    첫 번째로 우리가 흔히 아는 치매인 알츠하이머 치매 원인인 아밀로이드 베타(Aβ)입니다.

    이 단백질은 뇌세포 외부에 플라크(plaques) 형태로 축적되어 신경 세포 간의 소통을 방해하고 염증 반응을 유발하여 신경 세포의 손상을 초래합니다.

    아밀로이드 베타가 과도하게 축적되면 뇌의 구조와 기능에 큰 영향을 미쳐 치매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이 단백질이 뭉쳐서 뇌에 영향을 주고 치매 증상을 만드신다고 보면 될 것 같네요.

    두 번째 타우(Tau) 단백질입니다.

    타우 단백질은 신경세포 내부에서 마이크로튜블(microtubules)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타우 단백질이 과도하게 인산화되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고 신경섬유 엉킴(neurofibrillary tangles)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엉킴은 신경세포 내부의 물질 이동을 방해하고, 결국 신경세포 사멸을 초래합니다.

    타우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축적 역시 알츠하이머병 및 다른 형태의 치매와 연관이 있습니다.

    최근 치매 치료에 대한 연구들도 이러한 단백질들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