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방귀 가스가 입으로 나올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우선 더러운 얘기를 해서 죄송합니다.

우리가 소화를 시키면 트름이나 가스가 배에 차잖아요. 그런데 알게모르게 방귀를 억지로 참아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배출해야하는 가스 방귀를 항문으로 배출을 못하게 되면 가스가 위로 이동하여 트름으로 배출되기도 하나요??

제가 이렇게 생각한 이유는 어잿든 인간의 장은 입에서 항문까지 일직선으로 연결되어있기 때문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방귀가 입을 통해 나오는 현상은 이론적으론 가능하다고 말씀드려도 되지만, 굉장히 일어날 확률은 희박하다가 가장 정확한 설명이라 생각합니다. 대장부터 식도까지 하나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론 가능하다는 표현을 했지만 반면에 여러 괄약근과 같은 근육들로 막혀있거나 굴곡이 많고 장 운동을 통해 가스가 입을 통하기 전에 항문을 통해 배출이 더 자연스러운 현상이기 때문입니다.

    방귀는 대장에서 미생물들이 음식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가스들인데 이 가스들이 입까지 가는 과정은 역류의 과정이고 일반적으로는 장 운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더 하부 소화계로 이동을 합니다.

  • 체의 소화기관는 입에서 항문까지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나 트름은 어디로든 이동할 수 있습니다. 만약 방귀를 억지로 참아서 항문으로 배출하지 못하면 혈액에 녹는 양을 제외한 가스가 위로 이동하여 위쪽으로 배출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정도 된다면 인체에 심각한 문제가 먼저 발생할 것입니다.

  • 말씀하신대로 장은 입에서 항문까지 연결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장에서 발생한 방귀가 장을 역류하여 입으로 나오지는 않습니다.

    장은 주로 한쪽 방향으로 물질을 옮기도록 능동적으로 움직이고, 장의 경계에는 괄약근이 있어 역류를 막기 때문입니다.

    트림의 경우 식도와 위에서 발생한 가스입니다.

    다만 방귀를 많이 참을 경우에는 대장 안쪽의 압력이 올라갑니다.

    이 경우 방귀가스가 혈액으로 일부 용해되는데요.

    이 경우에는 방귀가 소변에 포함되어 배출되기도 하며,

    폐를 통해 배출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방귀는 장을 역류해서 입으로 배출되지는 않지만,

    혈액을 타고 몸을 순환하여 이동하다가 폐에서 방출되어 내쉬는 숨에 섞여 입을 통해 나올 수는 있습니다.

  • 방귀는 음식과 함께 입으로 들어간 공기가 장 속 음식물의 발효에 의해 생긴 가스와 섞입니다. 그러나 방귀가 몸 밖으로 나가지 못하면 직장에 쌓인 가스 중 일부가 장 벽을 통과하여 혈류으로 재흡수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폐로 호흡을 내쉬면서 입에서 무취의 가스가 방출될 수 있는데, 입에서 가스가 방출된다면 장에서 만들어진 유황 화합물은 재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입 가스는 방귀처럼 냄새가 나지 않습니다. 다만 방귀를 계속 참는다면 입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은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가능합니다. 지속해서 방귀를 참으면 일부 가스는 혈류로 재흡수 되어 폐로 내쉬면서 입으로 무취의 가스가 방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소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는 보통 방귀로 배출되지만, 만약 어떤 이유로 방귀를 참게 되면 가스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트림으로 배출될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 몸의 소화기관이 입에서부터 식도, 위, 소장, 대장을 거쳐 항문까지 하나의 긴 관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귀 가스가 아래로 배출되지 못하면, 위로 올라가 입을 통해 트림의 형태로 나올 수 있는 것이죠. 하지만 이런 현상은 흔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경우 가스는 자연스럽게 방귀로 배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