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년전에 신경치료후 보철치아를 했어요
이번에 두번째 교체를 합니다
그동안 인식을 못하고 있다 이번에 보니 신경치료 한 치아색이 검어요 ㅠ
1ㅡ왜 검은가요?
2ㅡ신경치료한 치아 보철치료 부분 잇몸색이 다른 부분과 다른가요? 잇몸 통증은 없어요,,,
3ㅡ신경치료한 치아 뿌리도 썩을수 있는지, 썩은면 어떤 증상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
단순히 색이 검다는 것만으로는 해당 증상이 발생하는 정확한 부위 등을 알 수 없어 정확한 판단이 어렵습니다.보철을 씌운 상태인데 잇몸경계부분이 검다는 말인지, 보철을 벗겼는데 치아가 전체적으로 검은지 등을 판단할 수 없습니다.
신경치료 후에는 해당 치아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치아의 변색이 발생하여 검게 변하는 것은 정상입니다.
PFM등의 보철물을 한 경우 잇몸이 다소 내려가면서 치아와 잇몸 경계부분에서 크라운의 금속이 노출되어 보여 검은 선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외에도 충치 등 여러 원인이 있으므로 때문에 실제로 구강검사를 해야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
1과 2에 대한 답변은 위의 답변으로 대체합니다.
3. 신경치료한 치아라도 추가적으로 충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신경치료를 하였기 때문에 통증 등의 증상은 없으나 치아가 충치로 인해 깨져나가는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고 재감염이 발생하여 뿌리끝에 염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신경치료하게되면 치아는 검게 변하게 됩니다. 17년이 지났으면 아마 변색이 어느정도 되엇을것입니다.
따라서, 보철부분의 잇몸은 검게 보일가능성이 높습니다.
신경치료한 치아도 충치가 생길수있습니다. 다만 신경이 없기때문에 별 증상이 없고, 충치로 인해 치근단염증이 생기면 통증이 생길수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1. 단순히 치아색만으로는 판단하기 힘듭니다. 2차 충치로 인하여 나타난 현상일 수도 있으며 특정한 신경치료 재료가 치아에 비춰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치과 방문이 필요합니다.
2. 대부분 잇몸에 문제가 없다면 보철 재료로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습니다 .PFM과 같은 재료는 안쪽에 금속이 있어 금속 라인이 잇몸에 비춰 보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잇몸쪽이 어두워 보일 수 있습니다.
3. 신경치료한 치아도 염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신경치료가 제대로 되지 않았거나 신경치료로 도달할 수 없는 부위에 세균들이 있었다면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염증이 커질 수 있습니다. 보통은 치아에 통증이 나타나거나 잇몸을 뚫고 염증 등이 나올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