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편도 찌꺼기로 인해서, 감기에 더 잘걸릴수도 있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32

편도에 찌꺼기가 쌓이면 감기를 더 유발하기도 하는건가요?편도염의 원인이 , 편도 결석에도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제거 하면 또 다시 생기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고완규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편도결석은 편도염의 원인이 될수 있지만 드뭅니다. 결석이 생기면 그에 따른 감염 이 위험도 가 증가할수 있습니다 편도 결석을 제거 해도 드물지만 또 다시 생길수 있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합니다. 규칙적 양치질 과 충분한 숙면과 스트레스 관리등도 중요하고 그외 항상 구내 위생 을 신경쓰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편도에 찌꺼기가 쌓이면 편도 결석(편도선 결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편도의 작은 홈에 음식물 찌꺼기, 세균, 죽은 세포 등이 쌓여 굳어지면서 형성됩니다. 편도 결석이 생기면, 때때로 목에 이물감이나 불쾌한 냄새가 날 수 있으며, 감염을 유발할 수도 있죠

    편도 결석이 직접적으로 감기를 유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편도염을 자주 일으킬 수 있고, 편도염이 자주 발생하면 면역체계가 약해질 수 있어, 감기와 같은 호흡기 질환에 더 잘 걸릴 수 있는건 맞아요

    편도 결석을 제거한다고 해서 바로 결석이 다시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편도에 더 많은 찌꺼기가 쌓일 수 있는 환경이 계속 유지된다면, 결석이 다시 생길 가능성도 있습니다. 편도 결석의 재발을 방지하려면 입안을 자주 헹구거나 입냄새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편도선 절제술을 통해 결석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지만, 이 방법은 마지막 선택지로 고려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편도 찌꺼기, 흔히 편도 결석이라고 불리는 것은 주로 입 안의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 등이 편도에 쌓여 생기는 것입니다. 이러한 편도 결석 자체가 감기를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편도에 찌꺼기가 쌓여 있으면 세균이 더 쉽게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되어 면역 체계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간접적으로 감기에 걸리기 쉬운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편도염의 원인은 여러 가지인데, 그 중 한 가지로 편도 결석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결석이 있는 경우, 그 주변으로 염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편도염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편도 결석은 제거 후에도 다시 생길 수 있습니다. 그 원인은 편도 자체의 구조 때문이며, 평소 구강 위생을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테면, 충분한 수분 섭취, 규칙적인 양치질, 구강 세정제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편도 결석(흔히 '편도 찌꺼기'라고 부름)은 그 자체로 감기를 직접 유발하지는 않지만, 불편함을 줄 수 있는 상태입니다. 편도 결석은 음식 입자, 박테리아, 죽은 세포들이 편도 주머니에 모여 딱딱해진 것으로, 구취, 목의 이물감, 간혹 경미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결석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감기에 더 취약해진다고 볼 수는 없지만, 편도에 만성적인 염증이 있는 경우 면역 기능에 영향을 줄 가능성은 있습니다. 편도염과 편도 결석은 서로 관련될 수 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편도염은 주로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편도 결석이 있는 경우 간혹 세균의 저장소 역할을 할 수 있어 염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결석을 부드럽게 제거하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완화될 수 있지만, 편도의 구조적 특성상 재발할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구강 관리, 충분한 수분 섭취, 식후 물로 입 헹구기 등이 결석 형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결석으로 인한 불편함이 지속되거나 심해진다면,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