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용어인 간주임대료는 무엇인가요?
소형주택에만 제외됐던 간주임대료 과세 특례가 2026년 말까지 연장된다는 글 중에
"발표한 '2023년 세법 개정안'에 따르면 주택간주임대료 중 소형주택에 적용하던 특례 기한을 연장하는 소득법이 개정된다." 내용에
간주임대료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간주임대료란 전월세 보증에 의해서 발생되는 수익을 과세되는 금액을 간주임대료라고 합니다. 임대인이 낸 보증금을 은행에 예금하셨을 때 발생되는 이자 부분을 임대수입으로 보고 과세하는 것 인데요. 소형주택에는 비적용되어왔으면 금번 연장된 것입니다.
<소형주택 기준>
~ 2018년 말
1호, 또는 1세대당 60㎡ 이하 & 기준시가 3억원 이하
2019년 ~ 2023년
40㎡ 이하 & 기준시가 3억원 이하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간주임대료는 쉽게 설명하면, 전세금을 받지 않았다면 월세를 얼마나 더 냈을지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그만큼은 수익이었을테니까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간주임대료라고 하는 것은 부부합산 비소형주택 3채 이상 소유자의 비소형주택 보증금이나 전세금에 대해서 보증금 합계금액 3억원 초과분의 60%에 대해서 일정 비율(23년부터 2.9%적용)을 임대료로 간주하여서 총수입금액에 산정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이에요
안녕하세요. 황성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임대인이 받은 보증금에 정기예금이자율을 곱한 금액을 임대료로 간주하는것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간주임대료는 전세 또는 월세 보증금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을 임대를 통한 수익으로
간주하고 과세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주자가 주택을 대여하고 보증금·전세금 또는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금액을 받은 경우 보증금 등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임대인인 제가 10평짜리 집을 보증금 1000만원과 월 20만원의 월세로 주기로 했다고 하면 1000만원을 간주임대료로 계산합니다.(보증금 1000만원을 월세로 환산한 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