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착실한퓨마165
착실한퓨마165

무상감자를 30대1로 하면 어떻게 되나요?

보유주식중에 감자공시이후 하한가맞고 이후에도 하락해서 반토막이 났습니다. 감자공시전에도 거의 40퍼가까이 손실중이였구요. 감자는 처음겪는거라 어찌해야하는 할지 모르겠어요.

감자는 4월에 한다고 하는데 어찌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대부분 회사에서 감자를 한다는건 기업상황이 안좋다는걸 의미합니다.

      존버를 할것인지 물을 타실건지 가장 중요시하게 봐야할 점은 해당기업이 아직까지도 발전가능성이 있는 기업인지

      주가를 회복할 수 있는 힘이 있는지 그걸 파악하시는게 중요합니다.

      지금 주식의 흐름을 잘 보시길 바랍니다. 전반적인 흐름만 알아도 손실을 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항상

      투자전에 재무제표를 필수적으로 보셔야합니다.

      영업이익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기업은... 감자하기 쉬운기업이죠

      그리고 전환사채를 자주 발행하는 회사는 회피하시는것도 주가하락을 피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 무상으로 주식을 감자하는 것이다. 즉, 주식을 보유한 사람이 어떠한 보상도 받지 못한 채, 결정된 감자 비율만큼 주식수를 잃게 되는 것을 말한다. 무상감자는 결손금으로 인해 이익배당을 할 수 없거나 주가하락의 우려로 신주발행이 불가능할 경우에 시행된다. 이는 자본금을 감소시키고 기업의 자산은 감소시키지 않아 자본총액에는 변동이 없다. 무상감자는 이미 납입된 주식액 중 일부를 주주손실로 처리하여 삭제하고 그 외 나머지 금액을 주식액으로 하는 방법과 여러 개의 주식을 합쳐 그 보다 적은 수의 주식으로 바꾸는 방법인데..회사가 어떤 회사인지는 모르겠으나, 재무구조등 면밀히 파악해보시고 필요하다면 회사에 전화도 해서 알아보고 손절을 하시든 선택을 해야할것으로 보입니다.

      최악의 경우는 상폐도 있으니 알아보시고 결정을 하셔야 할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