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가만히 두면 수익일텐데 왜 가만히를 못 둬서 문제일까요?
안녕하세요!
코린이입니다.
왜 항상 이리저리 움직여서 이득을 볼 때도 있지만 손실을 보는지가 자신도 이해가 안 갑니다.
그냥 가만히 두면 수익일텐데 왜 가만히를 못 둬서 문제일까요?
전문가님들도 이런 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손실은 참지만 수익은 참지 못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그래서 코인 투자방법중에 매수하고 잊어버리는 것이 가장 높은 수익율을 가져다 준다는
것도 이러한 원리에서 나온 것입니다.
남들도 수익을 참기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말씀처럼 이렇게도 해 보고 저렇게도 해보다가 2년 동안 쫄딱 망했습니다 언젠가는 오를 것을 알고 언젠가는 떨어질 것을 알면서도 그것이 계속 혼동이 오면서 버티기도 하고 손해 보고 빼기도 하고 그 행위만 2년을 했다가 전세에서 반지하 월세로 했습니다 저만 그런 것은 아니겠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초보자들은 하락장보다는 상승장에서 많은 돈을 잃게 됩니다. 예를 들면 본인이 가지고 있는 종목이 오르지 않는다고 상승하는 종목을 매수 했다가 하락하면 손절하는, 사팔사팔을 하다가 야금야금 원금을 잃게 됩니다.
정확한 투자기준을 가지고 끝까지 투자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투자가 그래서 어려운 것 같습니다.
심리적으로는 대체로 좋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 과정이 힘겨운 것 같습니다.
이에 지속적으로 다른 코인으로 갈아타게 되고, 그 과정에서 수익보다는 손실이 날 가능성이 높은 것 같습니다.
단타는 초보 투자자들은 굉장히 어려운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심리적으로 어렵겠지만 하락장에서도 버티거나, 좋은 코인이라는 생각이 들면 추매하는 방법을 써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투자를 할때 누구나 그렇습니다.
가만히 둬서 올라가는 상승분을 다 먹기는 굉장히 어려운 일이고 사실상 불가능한 영역입니다.
한두번은 운으로 가능할지라도 지속적으로 그렇게 이길수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지금 수익을 처분하지 않으면, 손실권으로 들어설 수 있다는 걱정이나 위기감에 그러한 결정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또는 지금 수익권이 잠시뒤 다시 하락할것이라는 생각이 있어서 평단을 낮춰서 들어갈것이라는 생각도 잇겠지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처음 투자를 시작할 때는 사고 팔고 사고 팔고를 계속 반복했습니다.
이게 내가 진입한 타점이 완벽하지 않아서 오르고 내리고를 반복해서 심리적으로 불안함을 느끼기 때문인데요.
내가 제대로 공부하고 진입한 자리에 대한 믿음이 확고하다면 가만히 냅두면 알아서 올라갈겁니다.
그렇기에 진입 근거 및 시장 상황을 제대로 보고 투자를 하신다면 사고 팔고 하다가 수수료 갈리시는 일은 없을겁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투자 과정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감정적 충동과 그로 인한 의사결정 오류는 인간의 본성 중 하나인 후회 회피 편향 때문일 확률이 높습니다. 이는 본인의 지식이나 기술의 대한 과신, 군중심리, 단기수익 추구 성향으로인해 나타나며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개별종목보다 지수추종 etf를 분할 적립식으로 매수하여 장기간 투자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예... 저를 보고 하신말씀같아서 따끔하네요
아마도 가만히 놔뒀다가 수익에서 손실로 전환된 경험이 있는 분들은 공감하실겁니다 .
가만히 놔두면 더 떨어질수있다는 공포감에 파는것죠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대부분 주식의 단타성 변동은 두려움때문이죠.
장기적인 관점에서 결국 조정을 거쳐 상승할 수 있는데 손실을 입을까하는 두려움으로 주식 매도를 하거나 매수를 하는 것이지요. 투자를 할때는 신중함도 중요하지만 하락시 믿고 버틸수있는 마음가짐도 중요합니다.
저도 이런 마음이 안되어 있어 결국 올라갈 주식을 파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