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엔리코오노프리
엔리코오노프리

아이의 자폐증세는 언제부터 알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친한 지인의 아이가 갑자기 자폐 증세를 보인다고 하는데

제가 애기때도 보고 했는데 괜찮았거든요

근데 지금 5살된거같은데 애가 자폐판정을 받았답니다

미리 알수는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리나라의 자폐 스펙트럼의 판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반성 발달 장애(자폐증)가 확실해진 시점(최소 만 2세 이상)에서 장애를 진단하게 된다고 합니다.

    만 6세 미만에서 지적 장애 판정을 받았다면 만 6세 이상~만 12세 미만에서 재판정을 실시해야 합니다.

    수술, 치료, 의료적 조치 등으로 기능 회복이 예상되는 경우 장애 판정을 처치 후로 유보해야 합니다.

    설사 주변인이 몇몇 기준에 해당해도 자폐스펙트럼을 의심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의사만이 진단을 내릴 수 있다는걸 기억해야 합니다. 특히 자폐는 외적으로 명확한 근거가 아니라 전문의의 복합적인 진단이 필요하며, 자폐와 비슷한 특징을 보이지만 아닌 경우도 많기 때문에 의심된다면 괜히 이것저것 찾아보기 보다는 그냥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는 것이 낫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의 자폐증상을 아는것은 쉽지 않다고 합니다. 아이를 계속해서 관찰을 해주셔야 되겟습니다. 주 양육자가 아이를 잘 관찰하셔서 조금 이상하다고 싶으면 병원 진료를 바로 받아보시는걸 추천드리겠습니다. 이는 아주 중요하기 때문에 아주 관찰을 잘해주셔야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자폐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 중 호명반응이 있는데 이것은 9개월 전후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아이 이름을 부를 때 그것에 반응하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그 밖에 눈맞춤을 하는지, 엄마 아빠의 눈치를 보고 참조를 하는지 확인해보시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자폐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가 바로 상동 행동입니다

    대략 자폐성향을 띄는 아기들은 생후 12개월쯤 의미 없는 반복적인 행동을 하기도 하고, 까치발을 계속해서 들기도 합니다. 단순하게 생각했을 때 이게 재밌어서 관심이 가는구나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런 행동을 아이가 지속적으로 하게된다면 좀 더 유심히 봐야 한답니다. 그래야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어떤 한 행동에 집착하고 반복할 때 잘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유심히 관찰하면 6개월 이후부터도 조금씩 발견할수있다고 합니다

    6-7개월 후부터의 낯가림이 없다거나

    상호작용안에 눈맞춤이 없다거나

    개인마다 차이가있고

    여러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되는 부분이라 의심여부인거지 확정할순 없습니다

    참고바랍니다

  • 자폐증은 보다 정확한 명칭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라고 불립니다 이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의사소통,행동의 다양한 발달 측면에서 일반 사람과 차이를 보입니다 자폐증은 유전적 영향과 환경적 영향의 조합에 의해서 발생 합니다

    자폐증 은 사회적 상호작용 과 의사소통 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비정상적이고 반복적인 행동,특정 관심사에 집중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폐증은 일반적으로 3세 이전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더 자세한 진단은 2~3세 경 부터 가능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