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성대?)가 따끔한 통증이 있는데 무슨 병인가요?
목인지 성대인지 따끔하면서 통증이 있고 그럴 때마다 목소리가 삑사리(음이탈) 나듯이 나옵니다. 기침을 몇번 하면 이러한 증상이 해소되기는 합니다. 증상이 있었던 건 10년도 더 되긴 했는데 아직까지 더 큰 증상은 없습니다. 병명을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인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성대쪽의 염증인 성대결절이나 후두염 등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가래로 인해 목이 잠기는 증상일 수 있는데 장기간 지속 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만성기관지염이나 성대결절 정도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쉰 목소리는 애성이라고 합니다.
보통은 성대쪽에 문제로 인해 쉰 목소리가 나는데 성대결절이나 후두용종, 후두염등에서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성대 결절은 지속적인 음성의 남용, 무리한 발성으로 인해 성대에 결절(성대 점막의 좁쌀만 한 크기의 작은 혹)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이는 6~7세 남자 어린이, 30대 초반의 여성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가수, 교사 등과 같은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게 흔하게 나타납니다.
후두 내시경을 보며 진단하니 이비인후과를 한번 방문해 보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성대 이상 유무를 확인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비인후과를 방문해보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확답하긴 힘들지만, 편도선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편도선염은 영양결핍에 의해 신체저항력이 떨어질때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해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갑자기 몸에 열이 나면서 추위를 느끼게 되고 목구멍이 아픈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공기나 음식물이 통과하는 통로인 인두근육에 염증이 생기면서 삼키는 것이 힘들게 되며, 두통, 전신쇠약감, 관절통 등의 증상 또한 동반되게 됩니다.
심할때는 혀의 표면이나 구강내 두껍고 끈적끈적한 점액이 생깁니다.
통상 5일정도 이러한 증상이 지속됩니다.
충분한 수분섭취가 중요하며,
과로에 의한 질병이기도 하기에 휴식이 특히 필요합니다.
음식은 죽과 같은 부드러운 음식을 드시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임태형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편도선염일 확률이 있어보이십니다.
기후변동, 과로, 과음, 과식 코수술, 부비동 수술후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전신의 저항력이 떨어졌을때 세균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목부위의 통증인 인후통과 음식물을 삼킬때 통증이 오는 연하통, 전신권태 및 고열이 가장 흔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오한, 고열로 시작되어 두통, 이통, 사지통, 목부위의 건조함을 느끼게 되며 음식을 삼키기가 곤란하고, 통증을 느끼며, 언어장애를 잃으키고 입에선 악취가 나게 됩니다.
보편적인 치료는 안정과 충분한 수분섭취와 부드러운 음식을 먹고 진통제 등을 투옇인후의 불쾌감과 통증을 감소시켜 주는것입니다.
단순한 감기로 판단해서는 안되며 항생제는 고열과 전신권태가 2-4일 지속되면 복용하시는것이 좋습니다.
(항생제를 복용하시기로 하셨으면 증세가 호전되어도 2-3일 계속해서 추가 복용하시는것이 효과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주경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편도염의 가능성이 있으니 병원에 내원해서 진단을 받아보시는것이 좋습니다.
편도염의 원인
편도염은 급성 편도염, 만성편도염 두가지로 나뉩니다.
급성편도염은 대개 젊은 성인에게 발생하기 쉽고,
피곤할때
저온이나 고온에 노출되었을때,
감기를 앓고 난후,
대사성질환이나 면역질환을 가지고 있을때
주로 발생합니다.
만성편도염은 편도의 염증으로 인해 계속되는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편도염의 증상
급성편도염은 고열과 오한이 있은 후 목이 아픈증상이 발생하며
편도염증으로 인해 음식을 삼킬때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감기로 오인을 하지만, 환자의 입안을 보면 편도주위가 붉게 충혈되고 편도가 부어있는 상태이며 표면에 노랗거나 하얀막이 붙어있는 모양을 보입니다.
편도염의 치료
물을 충분히 섭취하고 휴식을 취하며, 구강가글제를 사용하여 구강청결을 계속유지하는 것이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적절한 소염진통제와 항생제는 의사의 진단하에 사용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구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편도선염의 증상에 속하십니다만 정확한진단은 병원에 가보셔야할것 같습니다.
원인)
몸의 저항력이 떨어질때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
(어린아이는 바이러스 때문에 걸리는 경우가 많고,
좀더 큰아이는 세균 때문에 걸리는 경우가 많음)
증상)
높은 열과 춥고 인후통이 나타남
인두근육에 염증이 생기면 연하곤란 증상이 나타남
경부 임파선 비대가 나타남
위의 증상들이 4~6일정도 나타나다 다른 합병증이 없을시 곧 사라짐
치료
대부분 충분한 휴식, 수분섭취, 소염진통제 복용등을 시행하면 곧 치료됨
합병증이나 세균감염이 의심스러울시 항생제 치료를 하게 됨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북쪽의 통증이 있으시군요
이미 10년 정도 되셨다면 만성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럴 때는 인터넷으로 찾아 보지 마시고 가까운 이비인후과에 들리셔서 후두내시경 등을 통해 정확한 진료 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목에 통증이나 이물감이 느껴지는 경우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등의 질환이 있어 염증이 생긴 경우, 비염이나 축농증에 의해 목이 자극을 받는 경우, 편도염이나 편도결석이 있는 경우, 종양 등의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때문에 해당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우며,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와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목 안의 이물감이나 통증으로 문의를 주셨습니다.
지속적으로 목에 무언가가 거려 있는 듯한 느낌이 지속된다면 만성 역류성 인후두염을 우선적으로 의심해볼 수 있으며, 가능성은 낮지만 인두나 후두의 암과 같은 다른 질환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가래를 지속적으로 끌거나 큼큼거리는 행위는 인후두에 좋지 않은 습관이며, 소리를 지르거나 노래를 하는 행위 들도 성대에 무리를 가하는 행동이며, 흡연자라면 금연을 권합니다.
성대질환이나 음성장애를 전문적으로 보는 이비인후과나 대학병원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본인의 상태를 먼저 확인하시길 권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성대결절일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성대결절이 생기는 원인은 반복적으로 강하게 대립되는 점막의 움직임과 강한 호기압에 의하여 발생합니다. 성대 남용과 오용은 성대의 기능 장애에 가장 큰 원인이 됩니다. 계속 말하는 것, 과다하게 웃거나 우는 것, 강한 배경 소음이 있는 장소에서 큰 소리로 말하는 것, 고함이나 소리를 지르는 것 등 이런 모든 것들이 후두의 효율적인 기능에 해가 됩니다. 또한 권위적으로 말하기 위해 낮은 음도로 계속해서 말하는 것, 흡연이나 음주와 같이 후두의 무리한 사용 등도 성대결절의 원인이 됩니다.
다행히도 대부분의 음성장애 원인은 심각한 것은 아닙니다. 단시간 내에 제 목소리로 돌아오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성대의 남용과 오용은 성대의 무게와 크기에 변화를 가져오는데, 두 성대가 전체길이를 따라 서로 최적의 상태로 접촉해야 하는 것을 못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남용이 아니더라도 심리적 긴장에 의해서 성대결절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흔하지 않은 원인들로는 알레르기, 갑상선 질환, 뇌신경학적 질병, 목에 상처를 입은 경우, 월경기간 동안에 결절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적인 요인과 스트레스, 복용하고 있는 약제 등이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