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 GM ⠀
⠀ GM ⠀

앞으로의 미국 금리에 대한 의견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미국 금리를 앞으로 낮출지 올리지 궁금한데,

미국 경제를 보았을 때, 어느 방향이 더 확률이 높을까요?

금리가 낮아질 확률이 높은지 올라갈 확률이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7월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따라서 미국의 7월 실업률 지표가 fomc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 예상대로 올해 2회인하를 해야한다면 7월에는 1회정도 인하를 하긴 해야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 연준은 기준금리 4.25~4.5%를 유지하고 있으며 FOMC 점도표를 보면 올 해 안에 두 차례 정도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인플레이션 우려, 무역,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실제 인하 시점은 9월 이후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래도 26년까지는 기준금리가 단계적으로 3%대 중반 수준까지 낮아질거라 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앞으로의 미국 금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이란-이스라엘 전쟁, 이란-미국의 관계,

    관세 문제 등 앞으로 미국의 기준 금리 인하를 하는 것이

    쉬워보이진 않고 반대로

    금리 인상의 가능성이 더 오를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연준과 파월의장이 금리결정을 못하는 이유를 바로 미정부의 관세정책을 이야기하였습니다 현재 트럼프의 상호관세와 보편적관세를 실시하고 있고 상당수 유예를 하면서 명확하게 동맹국과 선진국들 각국가들에게 어떤식으로 어떻게 관세를 매길지에 대한 로드맵을 하나도 제시를 안하면서 파월의장이 명확하게 물가에 대한 판단이 안서고 이로 인해서 경제에 어떤충격을 줄지 알수없으므로 금리결정을 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향후 트럼프정부는 여전히 강력하게 비관세장멱과 보편적관세 10%부과 그리고 상호관세를 실시할것으로 보이고 있고 특히 생필품이나 미국에서는 제조기반이 없는 품목에도 부과하였기 때문에 하반기에 물가에 대해서 큰 영향을 줄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서 하반기에도 금리를 낮추기보다는 오히려 금리동결결정이 가장 우세하다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연준은 지금 현재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물가가 잡히지 않아 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동결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올해 하반기 정도에는 인플레이션이 잡힐 것으로 기대하기에, 그때쯤 금리를 인하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보면 금리가 동결될 것이고, 장기적으로 본다면 올해 하반기나 내년 상반기에 금리 인하가 될 것으로 예쌍이 됩니다. 따라서 확률로 보자면 금리 인하가 더 높은 확률을 기대할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미국 기준금리는 4.25~4.5%로 동결 기조가 이어지도 있으며, 연내 두 차례 인하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미치지 못해 연준은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금리 인하 속도도 당초 예상보다 느려질 전망입니다. 연말 기준 금리는 3.75~4.0% 수준이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현 시점에서 미국의 금리는 인하보다는 동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견조한 노동시장과 높은 물가상승률에서 기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앞으로 미국 금리는 인하 가능성이 더 높은 상황이에요.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점차 안정세를 보이고 있고, 고금리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도 커지고 있어요.

    다만 고용 시장이 아직 탄탄하고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잡힌 건 아니라서, 급격한 인하는 어렵고 점진적 인하 가능성이 높다고 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보았을 떄,

    미국 금리는 올라가는 것보다

    낮아질 확률이 더 높고

    올해에도 1차례 이상 낮아질 가능성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기준금리가 여전히 동결되면서 시장의 기대감이 실망감으로 바뀌었지만, 인플레이션 발생 가능성, 실업률, 소비자물가 및 생산자물가 지수 등을 고려했을때 올해중으로 최소한 0.25%p 금리인하는 단행될 것으로 예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