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강력한여새275
강력한여새275

경도인지장애가 치매의 전조증상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47

궁금해서 질문 올리는데요. 경도인지 장애가 치매의 전조증상인지 아니면 치매증상인지 아닌지에 대해 의학적 자문을 구해봅니다. 답변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전조증상이라고 하는 것은 질환의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을 말하는 것이지요

    경도인지장애=치매(알츠하이머 병)은 아니기 때문에 전조증상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물론 치매는 아니기 때문에 치매 증상도 아닙니다.

    치매전단계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당뇨전단계의 경우 당뇨로 모두 진행하는 것은 아니지만 진행할 확률이 높지요?

    이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정상인이 치매로 진행하는 것에 비해서 경도인지장애의 경우 치매로 진행이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고려하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경도인지장애라는 용어는 기억력, 주의력, 언어 능력, 시공간 지각 능력 등 인지 기능 중 일부가 감소했지만, 일상생활에는 큰 지장이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상태는 치매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어 조기 발견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모든 경도인지장애가 치매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개선되기도 합니다. 다만, 치매로의 진행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생활 습관, 건강한 식단, 지속적인 두뇌 활동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도인지장애가 확인되었다면,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인지 기능 상태를 평가받고 적절한 관리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47세 남성분의 문의에 답변드립니다. 경도인지장애는 인지 기능 저하가 객관적으로 확인되지만, 일상생활에는 큰 지장이 없는 상태이므로, 치매와는 구별됩니다. 하지만 경도인지장애 환자 중 일부는 치매로 진행될 수 있어, 치매의 전조 증상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경도인지장애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치매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며,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인지 훈련 등을 통해 치매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관리 계획은 신경과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인지 장애란 기억력, 주의력, 언어 능력, 시공간 능력, 판단력 등이 저하된 상태로 인지 장애의 정도는 아주 경미한 경우에서 심한 경우까지 다양합니다.

    경도 인지 장애는 동일 연령대에 비해 인지 기능, 특히 기억력이 떨어지나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남아 있는 상태인 반면 인지 기능 장애가 심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를 치매라고 합니다.

    경미한 인지 장애는 정상 노화와 치매의 중간 단계라고 할 수 있으며 추후 알츠하이머 치매로 이행할 수 있는 고위험 상태이나 반드시 치매 전조 증상이라고만 볼 순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