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지금 우리나라 경제는 너무 안 좋고 물가가 왜 이렇게 비싸죠?

요즘 들어서 뉴스를 볼 때마다 항상 느끼는데 우리나라 경제가 너무 안 좋은 거 같은데요 그리고 물가가 너무 비싼 거 같은데 계속 이렇게 지속이 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옥연 경제전문가
    김옥연 경제전문가
    (주)무궁화신탁

    우리나라 경제가 현재 물가가 높은 이유에는 과거 코로나 시기에 유통되었던 많은 양의 화폐로 인한 인플레이션율의 상승과 더불어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에 의해서 발생한 달러환율의 상승으로 인한 국내 수입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이 주된 원인이라고 볼 수 있어요

  • 사과는 가격이 오를때까지 쟁여놓고 있다고 합니다. 이미 피디수첩 취재로 확인이 되었고요

    이처럼 여기저기 전쟁이다 전기세인상이다 할 때 업자들끼리 담합으로 올려파는 거로 의심이 되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물가인상은 있어왔지만 사과같은건 좀 심하죠, 취재 인터뷰보니까 수십억씩 번다네요

  • 안녕하세요

    • 국내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에 노출이 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 그 이유는 대외 변수로 인하여 원유가 상승도 있고 기후변화로 인한 곡물의 수급이 줄어들면서

      가격이 상승하고 이것이 우리가 실생활에 사용하는 물건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 계속 지속이 되진 않을 것이고 현재가 고점이고 점차 물가인상이 끝나고 플랫하게 유지로 접어들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 경제는 여러 요인에 의해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현재 어려움이 언제까지 계속 될지는 예측이 어렵습니다. 현재 물가 상승은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정부와 중앙은행이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하지만 물가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조정되는 경향이 있어 장기적으로 볼 때 개선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 코로나 때 세계 각국에서 경기를 살리기 위해 통화를 대량 풀었고 그에따라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고금리를 오랜 기간 유지하고 있고 한미간 금리차이도 커 환율이 계속 상승해 전반적으로 경제가 어려운 상황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의 현재 경제가 좋지 않은 상태에서 회복 중이며 아무래도 식료품 가격이 너무나 올라 물가가 비싸다고 느끼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우선 한국 경제 구조는 국제 교역 의존도가 매우 큰 편입니다. 미국, 중국, 일본 등은 나름 대로 내수 규모가 있어서 글로벌 리스크에 어느 정도 내성이 있으나 한국 경제는 글로벌 리스크에 영향을 크게 받는 편입니다.

    주요한 원자재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수출로부터 발생한 부가가치가 경제 성장과 구매력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수출이 줄고 글로벌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구매력 자체가 줄어들게 됩니다.

    말씀하신 고물가와 구매력 저하는 주요 위의 이유로 지속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는 코로나 19이후로 인플레이션이 증가하고 세계 원자재 값의 급등 등으로 인해서 물가가 많이 오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가의 상승에 맞춰서 한국은행에서는 금리를 높여야하지만 우리나라 일반 가정의 대출 규모가 크고 금리를 높이는 경우 많은 일반 국민들이 고통을 받기 때문에 물가상승을 잡기위한 금리인하를 단행하지 못하거 계속해서 금리를 동결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금리를 인하하지 읺아 시장은 계속 과열되고 물가 등이 올라가는 것이고 기후 상황도 계속 나빠져서 우리가 가장 크게 느낄수있는 밥상물가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미국의 금리인하가 시작되고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잡히고 우리나라 금리도 인하가 시작되어야 물가 상승이 잡힐것으로 예상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질문하신 우리나라의 경제가 안 좋은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는 삼고 즉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로 인해서

    내수소비가 많이 죽었고 이로 인해서 경제 전체가 어렵습니다.

  • ✅️ 우리나라는 대외의존도가 높은 경제인데, 미국의 고금리 정책, 중국의 디플레이션 우려, 러-우 전쟁 등 전쟁 이슈로 인해 거시적으로 악재가 상존하는 상황에서 환율이 높아서 수입물가가 높아짐에 따라 이런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