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떡뚜꺼삐
떡뚜꺼삐23.04.05

한강물을 예로 들어 질문 드릴게요

한강의 표층수를 보면 거의 흐름의 표시가 나지 않는것 같은데요, 중층수나 심층수는 흐르고 있나요?

왜냐하면 간혹 익사체가 익사지점에서 2~4km 또는 그 이상의 지점에서 인양됐다는 말을 들었거든요.

강 바닥의 물(심층수)이 흐르지 않는다면 그 멀리 까지 밀려 갔을까 싶거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한강은 표층부터 심층까지 일정한 흐름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표층수의 흐름이 느리게 보이는 것은 표층부의 수온과 염분 등의 물성이 다른 부분들이 혼합되어서 그렇습니다. 따라서 익사체가 발견된 지점에서 바닥물이 흐르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강 바닥의 물이 흐르지 않아도, 물의 흐름과 함께 익사체가 멀리까지 밀려 갈 수 있습니다. 이는 강의 물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익사체가 발견된 상황에서 강의 흐름을 파악하려면 현장 조사나 모델링 등이 필요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강과 같은 대형 강에서는 일반적으로 표층수, 중층수, 심층수 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표층수는 강물 표면에서 약 1m 정도 아래까지의 구간으로, 강물의 흐름이 가장 느리고, 수온과 함께 수위, 수질 등의 변화를 가장 먼저 나타냅니다. 따라서, 보통 표층수는 강물의 흐름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상대적으로 가라앉은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중층수나 심층수는 강물의 아랫부분으로 갈수록 강물의 흐름이 빨라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강물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 무게 중심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중층수와 심층수는 대부분 강물의 흐름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안정된 상태에서 유지되지만, 강물의 상황에 따라 흐름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은 표층수와 비교해서 중층수와 심층수의 흐름은 덜 뚜렷하게 나타나는 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강의 표층수가 거의 흐름의 표시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일반적인 상황입니다. 이는 한강이 평지 지형을 흐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중층수와 심층수는 흐르고 있습니다.

    한강의 중층수는 보통 표층수보다 빠르게 흐르며, 심층수는 매우 느리게 흐릅니다. 이러한 이유로 심층수에 익사체가 인양되는 것은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강의 경우, 표층수와 중층수, 그리고 심층수 간에는 수온, 염분, 산소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차이가 있어서 서로 다른 흐름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보통 강에서는 표층수가 가장 빠르게 흐르고, 중층수와 심층수는 그에 비해 느리게 흐릅니다. 그러나, 표층수, 중층수, 심층수가 서로 교류할 때에는 서로 다른 흐름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한강에서 익사체가 발견되는 지점에서 인양된 것은, 보통 표층수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익사체가 발견된 지점과 인양된 지점이 멀리 떨어져 있다면, 중층수나 심층수에서 이동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한강의 경우, 표층수와 중층수, 그리고 심층수가 서로 다른 속도와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익사체가 발견된 지점과 인양된 지점이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익사체가 발견된 지점과 인양된 지점이 멀리 떨어져 있을 때에는, 수문학적 모델 등을 활용하여 강의 수위, 유속, 흐름 등을 분석하여 익사체가 어떻게 이동했을지 추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강은 상류쪽에서 시작하여 하류쪽으로 흐르는 강으로, 표층수부터 중층수, 심층수까지 모두 흐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강은 일반적인 강과 달리 수문제 때문에 표층수가 매우 안정적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한강의 표층수가 거의 흐름의 표시가 나타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그러나 중층수나 심층수는 흐름이 매우 강합니다. 따라서 익사체가 익사지점에서 멀리 밀려 나가는 것은 중층수나 심층수의 흐름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5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강과 같은 대형 강에서는 표층수와 중층수, 심층수의 흐름 상태가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보통 대부분의 강에서는 표층수와 중층수는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흐르고, 심층수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흐릅니다.

    강 바닥의 물인 심층수가 흐르지 않는다면, 이는 대개 강 유역의 지형과 지질학적 조건, 강둑의 형태 및 폭, 강에서의 유속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결정됩니다. 실제로 강 유역 내부의 지형적 조건이나 지질적 특성에 따라 강바닥의 물이 일정 거리를 이동하거나 일부 지점에서 멈추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익사체가 발생한 지점에서 심층수가 밀려왔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익사체가 발생한 지점과 심층수가 발생한 지점 사이의 거리 및 강둑의 형태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익사체가 이동하는 속도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강의 표층수와 중층수, 심층수의 흐름 상태와 함께 익사체의 이동 속도 및 경로를 고려하여 이를 분석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