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혼내?훈육?가르쳐야?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너무 말을 안듣고 천방지축이라 좀 혼내?훈육?가르쳐야?하는데요
어떤식으로 해야 아이가 상처를 안받고 잘 받아 들일수있을까요
아이를 어떻게 훈육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ㅁㅁ아 같은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하게 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함으로써 아이의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아이에게 어떤 행동을 했을 때 아이가 잘못한 부분을 실수한 부분에 대해서 무조건 혼내고 다 같이 게 되면 안됩니다. 반드시 아이와 대화를 나누면서 왜 그런 행동을 하였는지에 대해 이유를 물어보고 상호소통을 나누는 게 우선입니다. 아이들도 각자 행동하는 데에는 모두 다 이유가 있기 때문에 억울한 부분이 발생하게 되면 평생의 상처로 남을 수가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흥분하지 마시고 차분한 어조로 이야기하시는게 중요합니다.
훈육 이라 함은 아이의 잘못된 부분을 짚어주고, 그 부분을 바로 잡아주는 것입니다.
훈육은 단호하고 일관성이 있어야 합니다.
아이가 잘못을 했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지금 한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시고, 왜 지금 한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정확하게 알려주도록 하세요.
아이가 말을 너무 안 듣는다면 정말 훈육이 제대로 필요합니다. 잘 못된 행동은 부드럽지만 단호하게 이야기 해주세요. 화내고 감정적으로 대응하면 부작용을 가지고 옵니다. 난 너를 사랑해서 이건 꼭 알려줘야해. 이건 네가 배워야 하는 거야. 라는 마음으로 아이에게 단호히 이야기 해주셔야 합니다.
우리 아이들이 부모님의 말을 듣지 않는다면 훈육은 필수적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컨드롤 되지 않으면 아이들은 밖에 나가서도 왕처럼 행세를 할 수 있어서 걷잡을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아이들이 잘못된 행동을 할때는 다시는 그 행동을 하지 않도록 따끔하게 혼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훈육시 산만한 것들은 제거하고 조용한 분위기에서 아이의 지금 행동의 문제가 있음을 알려줍니다
계속 산만한자세를 보일때는 자세를 바로 잡고
집중할때까지 기다려줍니다
말 안들은 이유를 듣고 앞으로 그런일 없도록 좋게 이야기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