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4.01.19

신기루가 보이는 원리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아주 뜨거운 사막을 걸어가다 보면 신기루라는 걸 볼 수 있다고 하던데 이런 신기루가 어떻게 해서 보이게 되는지 그 원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 현상 자체가 빛의 굴절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 입니다. 이는 특정 밀도의 매질에서 빛의 굴절이 일어나게 되면서 사물의 왜곡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는 빛의 굴절에 의해 생기는 현상입니다.


    빛은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진행할 때


    경계면에서 꺾이는 현상을 굴절이라고 합니다.


    빛의 굴절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물질에


    따라 빛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신기루는 빛이 대기 중의 온도나 습도에 따라 굴절되는 현상입니다.


    일반적으로 공기의 온도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집니다.


    지표면의 공기보다


    고도가 높은 공기의 밀도가 낮아지고, 굴절률이 커집니다.



    이러한 조건에서 지표면의 물체에서 나온 빛이 대기 중을 통과하면서 굴절되면


    물체보다


    높은 곳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신기루입니다.


    신기루는 빛의 굴절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지표면의 물체에서 나온


    빛이 대기 중을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지표면보다 높은 곳에 있는 물체의 거울상처럼 보이는 현상입니다.


    이 신기루는 사막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지표면의 물체에서 나온 빛이 대기 중을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지표면보다 높은 곳에 있는 물체의 상처럼 보이는 현상입니다.


    이 신기루는 바다나 호수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지표면의 공기가 뜨거워져 밀도가 낮아지고

    굴절률이 커지면


    지면의 물체가 마치 물에 비친 것처럼 보이는 현상입니다.


    이 신기루는 땅거울이라고도 합니다.



    신기루는 빛의 굴절에 의해 생기는 현상이므로


    관찰자의 위치와 보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대기의 온도나 습도에 따라 신기루의 형태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는 지표면바로위와 높은곳의 온도차이로인해 빛이굴절하며 만들어집니다.

    사막에서는 하늘의 모습이 지표면에 있는것처럼보여 오아시스로 착각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蜃氣樓) 또는 공중누각(空中樓閣)은 바다 위나 사막에서 빛이 밀도가 다른 공기층을 통과하면서 굴절하여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엉뚱한 곳에 물이 있는 것처럼 보이거나, 수평선 너머의 불빛이 보이기도 한다.


    신기루라는 표현은 고대 중국에서 기원한 것으로, 대합, 또는 이무기의 일종인 신(蜃)이 기운(氣)을 토해내어 공중에 만들어낸 누각(樓)이라는 뜻이다. 동아시아의 전승에서는 대합조개가 바닷속에서 기운을 뱉어내면 사람의 시야를 흐리게 하기 때문에 마치 바다 위 공중에 누각이 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전한다.[1] 사마천의 《사기》 천관서에는 "바닷가에서 신이 뿜어내는 기운이 마치 누대와 같다(海旁蜃氣象樓臺)"는 언급이 있다.


    신기루는 동아시아 지역의 문학적 소재로 차용되어 왔다. 조선 선조 후기의 문인 장유의 《계곡집》에 쓰인 〈신루기〉에서는 신기루를 신루(蜃樓)라고 표현하며, 바닷속의 신루가 환영이듯 생겼다 사라지는 모든 것이 환영과도 같아 실재와 환영의 구분이 무의미하다는 철학적인 이야기를 전한다. 장유와 마찬가지로 강유선, 김덕겸, 차천로, 조찬한, 김시양, 남궁집도 〈신루기〉라는 제목으로 신기루를 다루었다.[2]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는 빛의 굴절 현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빛은 공기 중을 통과할 때, 공기의 밀도에 따라 속도가 달라집니다. 밀도가 높은 공기에서는 빛의 속도가 느려지고, 밀도가 낮은 공기에서는 빛의 속도가 빨라집니다. 사막의 경우, 지면과 가까운 공기는 뜨거워서 밀도가 낮고, 높은 공기는 차가워서 밀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지면에서 출발한 빛은 공기의 밀도 차이로 인해 굴절되어 반대쪽으로 휘어지게 됩니다. 이때, 빛이 휘어지는 정도가 너무 심해서, 멀리 있는 물체가 마치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는 뜨거운 사막에서 자주 관찰되는 현상 중 하나입니다. 이는 뜨거운 사막의 공기와 차가운 공기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굴절 현상에 의해 보이게 됩니다. 뜨거운 사막에서는 지표면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공기가 뜨거워지고 이에 따라 공기의 밀도가 낮아집니다. 반면 차가운 공기는 밀도가 높기 때문에 뜨거운 공기 위로 올라오게 됩니다. 이렇게 온도 차이로 인해 공기의 밀도가 다른 상태가 만들어지면 공기의 굴절률도 달라지게 됩니다. 이 굴절률의 차이로 인해 빛은 공기의 밀도가 낮은 쪽으로 휘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신기루가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뜨거운 사막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바다나 호수 위에서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신기루는 온도 차이로 인한 굴절 현상에 의해 보이게 되는 것이죠.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면에 있느 공기로 빛이 들어올수록 그 빛은 위쪽으로 휘게 되어 반대편 물체가 지면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것인데

    신기루는 이렇게 밀도가 서로 다른 공기층에서 빛이 굴절함으로써 멀리 있는 물체가 거짓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는 대기 중에 있는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빛을 굴절시키고 반사시키는 과정에서 만들어집니다. 빛은 대기 중에서 다른 매질로 들어갈 때 속도와 방향이 변하게 되는데, 이 때 빛의 굴절률이 변하면서 굴절이 일어납니다. 또한, 빛이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의 표면에 닿으면 반사되어 다시 돌아오게 됩니다.

    이러한 굴절과 반사의 원리를 이용하여 빛이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을 통과하고 반사되는 과정에서 신기루가 만들어집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19

    안녕하세요. 서수용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는 공기의 기온차이가 크고, 불안정한 대기층에서 빛이 굴절하면서 만들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