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구리의 밀도와 구리 주변 기포의 연관성

구리의 밀도를 측정하는 실험

물의 부피를 먼저 계산하고 그 안에 구리를 넣어서 늘어난 부피를 구합니다.

무게를 재고 밀도를 구하는데 표준밀도와 차이가 납니다.

물에 넣었을때 구리 주변에 기포가 생겼다면, 그 기포와 밀도의 관계가 어떤지 알고 싶습니다.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기포가 생겼다면 탈포를하여 정확한 부피를 재야하지않을까합니다 그렇게 한다면 기포에 의한 영향은 없을듯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구리를 물에 넣었을 때 표면에 붙은 기포는 밀도 측정값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표면 기포가 붙어 있으면 부피, 즉 물의 증가이 과대평가되면서 계산한 밀도가 실제보다 낮게 나옵니다.

    실험에서 구리의 부피를 측정하는 방법은 아르키메데스 원리처럼 물의 부피 증가량 ΔV로 구한 뒤 밀도 ρ=m/ΔV로 계산하는데요, 그런데 구리 표면에 공기방울이 붙어있는 경우에는 물에 넣어서 측정되는 증가한 부피는 구리 자체의 부피에 더해 기포의 부피까지 포함하게 됩니다. 즉 계산 되는 밀도는 실제 구리만으로 인한 밀도값보다 작아지게 되며, 기포 부피가 클수록 오차는 커질 수 있습니다.

    기포가 쉽게 생길 수 있는 상황은 표면이 거칠거나 홈)이 있으면 공기가 포켓처럼 붙기 쉬우며, 시료가 건조하고 표면장력이 큰 경우 역시 기포가 잘 붙습니다. 또한 온도나 용액의 용존가스가 빠져나오며 기포가 생길 수도 있고 혹은 시료에 기름이나 오염물이 있으면 젖지 않아 기포 발생이 쉬워집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시료를 물로 미리 적셔서 기포 제거하는 방법이 있겠는데요, 시료를 물에 잠깐 담가 두어 붙어 있는 공기가 떠오르게 하는 것입니다. 또는 에탄올(70% 정도)을 먼저 적셔서 물과의 젖음성을 높이는 방안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