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검소한오랑우탄282
검소한오랑우탄28223.04.11

딱풀은 어떤 원리로 접착력을 가지면서 두 물체를 붙이게 할 수 있나요?

종이류에 많이 사용하지만 여러 목적으로 사용되는 딱풀의 경우 접착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근본적인 질문은 풀의 재질은 어떻게 접착력을 가지는지 알고 싶습니다. 분자와 분자를 끌어들이는 자석의 원리와는 다르게 고체형태에서 액체로 변하면서 접착력을 가지는건 아닌지, 원인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딱풀의 잎사귀 표면에는 작은 모난 털이 있어 털의 각각의 끝이 붙는 면에 닿아 매우 작은 접촉 면적을 만든니다. 이 작은 면적에는 물 분자와 딱풀 표면 사이에서 인력이 생기며 붙은 두 물체가 서로 분리될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저장하고, 이후 다시 접착할 때 이 에너지를 활용해 붙이는 힘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풀의 접착원리는

    수분을 머금고 있는 고체상태의 풀성분이

    공기중에나오면 수분이 증발하면서 응고가 되기때문에 접착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딱풀 접착제는 접착제의 고분자 물질이 붙이려는 물질 A와 B 사이에서 물리적 결합인 반데르발스 힘으로 결합하는 성질을 통해 다른 물질을 붙이는 것입니다. 이러한 물리적 접착이 잘 일어나기 위해서는 접착제의 고분자와 접착 물질의 분자구조가 비슷하면 더욱 접착이 잘됩니다.


    접착제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바로 ‘틈’을 매우는 것입니다. 모든 물체는 아무리 매끄러워 보이는 것이라 할지라도 사실 매우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두 물체를 붙이면 그 사이엔 수많은 틈이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이 틈을 채워주는 것이 접착제의 기본원리입니다. 틈을 채워 마치 하나의 물체가 된 듯이 만드는 것입니다. 모든 분자들 간에는 ‘반 데르 발스 힘’이라는 인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틈을 가득 메운 분자와 물체들 사이에 이런 인력이 작용해 서로를 붙잡아 둘 수 있는 것입니다.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원리가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목공용 접착제의 경우 수분이 경화 촉매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풀의 접착력은 풀의 재질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풀은 접착력을 제공하는 물질인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폴리머는 매우 분자 구조가 복잡하며, 서로 다른 분자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접착력을 생성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딱풀의 접착원리는 수분을 머금고 있는 고체상태의 딱풀성분이 공기중에나오면 수분이 증발하면서 응고가 되기때문에 접착이 되는 것입니다.

    이와 비슷하게 본드의경우에도 쉽게 휘발되는 물질로 되어있기때문에 휘발성 물질이 날아가고나면 남은 접착물질이 응고되어 접착성을 띄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