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러브버그는 언제쯤 사라지고 추울 때는 어떻게 살아남나요?

요즘 러브버그에 대한 말들이 많은데

러브버그는 몇월에서 몇월까지 생존하는 곤충인가요?

그리고 살아있는 러브버그들이 다 죽기전에

알은 어디에 낳고 알은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야 부화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여름철에만 있는 것 같은데

한해가 지나는 동안 어떻게 번식을 이어가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먼저 러브버그는 주로 초여름인 6월에서 7월에 개체 수가 급증하며 출몰합니다.

    성충의 수명은 매우 짧아서 수컷은 3~5일, 암컷은 일주일 정도 살 수 있습니다. 그리 일반적으로 발생 후 약 2주 이내에 자연 소멸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암컷 러브버그는 주로 숲이나 낙엽이 많고 습한 지역, 썩은 땅의 표면 등에 알을 낳습니다. 한 번에 100~350개, 많게는 300~500개까지 알을 낳을 정도로 번식력이 강합니다. 그리고 알은 2~4일 후에 부화하여 애벌레가 됩니다.

    러브버그는 알-애벌레-번데기-성충의 과정을 거치는 완전 변태 곤충입니다.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는 썩어가는 유기물을 먹고 자라며, 약 4개월 정도 애벌레 상태로 지내고, 일부 종은 애벌레로 겨울을 나기도 합니다. 애벌레가 충분히 성장하면 번데기가 되는데, 이 시기는 약 일주일 정도 소요됩니다. 다만, 우리나라 처럼 기온이 낮아지는 경우 에벌레나 번데기로 더 오랜 시간을 보내며 겨울을 보내게 됩니다.

    그리고 번데기가 성충으로 깨어나며 우리가 흔히 보는 러브버그가 됩니다.

    이러한 생애 주기를 통해 러브버그는 한 해 동안 번식을 이어갑니다. 주로 6~7월에 대량으로 나타나는 것은 성충이 되어 짝짓기를 하고 다음 세대를 준비하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러브버그는 이름처럼 짝짓기한 채로 날아다니는 모습이 특징이라 ‘러브버그’라 불리는데요, 외형은 파리와 비슷하며, 주로 여름철에 대량으로 출현해 사람들에게 불편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러브버그는 일반적으로 1년에 두 번, 대량으로 출현하는 계절성 곤충인데요, 첫 번째 성충 세대는 봄철인 4월 말~5월 초, 두 번째는 가을철인 8월 말~9월 초에 주로 나타납니다. 다만, 지역의 기온과 강수량에 따라 출현 시기는 달라질 수 있으며, 미국 남부에서는 봄과 가을에 각각 약 4~5주간 활동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성충은 봄이나 가을에 잠깐 나타나서 짝짓기하고 죽지만,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땅속에서 여름 내내 혹은 겨울 내내 유충으로 생존하며, 다음 해의 출현을 준비합니다. 특히 가을에 알을 낳은 개체들은 그 후 유충 상태로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에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되는 식으로 생애 주기를 이어갑니다. 이러한 유충의 월동전략 덕분에 러브버그는 추운 계절에도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으며, 봄이 되면 다시 활동을 시작하게 됩니다. 러브버그의 성충 수명은 약 3~5일 정도로 매우 짧고, 그동안 짝짓기와 산란이라는 생물학적 임무를 수행한 뒤 모두 죽습니다. 따라서 살아있는 성충이 모두 사라지기 전, 암컷들은 빠르게 산란을 마치고 유충 세대로 번식이 넘어가며, 이 유충 세대가 환경 속에서 다음 세대로 연결되는 구조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러브버그는 봄과 가을에 주로 나타나 몇 주간 활동하고 사라지며, 암컷은 습한 토양이나 썩은 식물 잔해에 알을 낳습니다. 알은 2~3일 후 부화해 유충이 되어 낙엽과 유기물을 먹고 자라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되며, 겨울철에는 유충 상태로 토양 속에서 지내다가 따뜻해지면 다시 성충으로 나타나 번식을 이어갑니다. 감사합니다.

  • 러브버그는 주로 6월 말에서 7월 초에 성충으로 대량 발생하며, 성충의 수명은 수컷이 3~5일, 암컷이 약 일주일 정도로 매우 짧습니다. 암컷은 썩은 땅 표면에 100~350개의 알을 낳고, 알은 2~4일 후에 부화하여 애벌레가 됩니다. 애벌레는 썩어가는 식물성 물질을 먹고 살며 약 4개월 후에 번데기가 되며, 일부 종은 애벌레 상태로 겨울을 납니다. 즉, 겨울철에는 성충이 아닌 애벌레 형태로 땅속에서 월동하며 생존을 이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