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상후 구토, 의식저하 등 이상증상 없다면 그럼 괜찮다고 보는거죠?
만2세(26개월이상) 아이랑
어른침대에서 낮잠을 자다가 아이가 몸부림을 치다가
침대아래로 떨어지려 해서 발을 잡았는데
침대프레임에 몇번 살짝 머리를 부딪혔어요.
감기때매 소아과 진료를 갔는데
의식잃거나 토하거나 등 의 증상이 있다면 내원하라규 하셨는데
2주가량 지켜봤는데 감기는 약간있지만 잘먹고 컨디션 좋다고 질문올렸었는데요!
그럼 정리해보자면 낙상후 한달정도 지켜본뒤 구토, 의식저하 등 이상증상 없다면 그럼 괜찮다고 보는거죠?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2주가량 지켜봤는데 감기는 약간있지만 잘먹고 컨디션 좋은 경우 구토, 의식저하 등 이상증상 없는 경우에는 아이에게 이상이 있지 않기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으면 합니다.
<평가>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아이가 침대에서 떨어진 후 큰 이상 증상이 없다면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특히 낙상 후 2주에서 1달 정도 지났는데도 아이가 별다른 증상이 없이 잘 먹고 활동한다면 심각한 문제를 일으켰을 가능성은 낮습니다. 머리를 몇 번 부딪혔다고 하더라도 심한 충격이 아니라면 대부분의 아이들은 별 문제 없이 회복합니다. 낙상 후 관찰해야 할 중요한 증상은 구토, 의식 저하, 극심한 두통, 몸의 한쪽이 약해지는 증상 등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이런 증상 없이 잘 지내고 있다면 큰 문제는 아닐 가능성이 큽니다. 아이가 감기도 잘 이겨내고 있는 것 같아 다행이에요. 앞으로도 아이의 상태가 변하지 않고 양호하게 유지된다면 괜찮다고 보셔도 됩니다. 어떤 상태가 되었든 아이의 건강에 대해 걱정이 되는 부분이 생긴다면 언제든지 소아과에서 아이의 상태를 점검받으세요. 아이가 건강하게 지내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아이가 침대에서 떨어지는 상황을 경험하셨군요. 이러한 경우, 머리에 충격이 있었기 때문에 걱정이 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일반적으로 낙상 후 심각한 증상, 예를 들어 구토, 의식 저하, 발작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아이가 잘 먹고 평소와 다름없이 활동한다면 큰 문제는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낙상 후 몇 주가 지난 지금까지도 아이가 특별한 이상 없이 잘 지내고 있다면, 심각한 부상의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물론, 이후에도 새로운 증상이 나타난다면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를 계속해서 관찰하시면서 건강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 주의 깊게 지켜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낙상시 머리를 프래임에 살짝 부딪치는 정도의 기전이고 한 달 동안 경과 관찰 했음에도 신경학적 증상이 없다면 뇌 출혈과 같은 심각한 질환의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2주가량 시간이 지났으며 그동안 컨디션이 쳐지거나 의식저하, 구토 등의 이상 증상 없이 잘 놀고 먹는다면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낙상 후 한 달 정도 지켜봤을 때 구토, 의식 저하, 이상 증상이 없다면 큰 문제는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확하게 파악하려면 소아과 진료 봐보셔야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