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거품론이 곳곳에서 나오는데 왜 이런 거품론이 생겨난 건가요
인공지능은 이제 대세인것 같은데요 그런데 주식시장 일부에서는 인공지능
거품론이 자꾸 대두 되는데요 어떤 근거로 인공지능 거품론을 이야기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인공지능 거품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들어가는 돈은 많이 들어가는데
실제 나오는 성과가 적기 때문에 거품론으로 보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인공지능(AI) 거품론이 나오는 건 너무 빠르게 성장하는 기술과 기업 가치 사이의 불균형 때문이죠. 일부 AI 스타트업은 매출이 수백만 달러인데도 수십억 달러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어서 현재 매출이나 이익보다 미래의 기대 가치가 너무 앞서가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기대가 실현되지 않을 경우 큰 조정이 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AI는 현재 기술의 실제 수익 창출 속도보다 투자자의 기대가 훨씬 빠르게 앞서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일부 AI 관련 기업의 주가가 짧은기간에 과도하게 상승했고 닷컴버블과 비슷한 기대만으로 오르는 흐름이 나타나면서 거품 논란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한 AI 인프라 중 CPU데이터센터 투자가 급증했지만 기업들이 이 시설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할지 아직 명확하지 않고 AI의 실제 매출 수익 또한 모델이 완전히 자리 잡지도 않았고 기술은 진짜지만 시장은 과열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AI 기업들은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지만, 아직 실질적인 수익은미미하여 우려의 소리가 나옵니다.
또 기술의 한계도 보여 스케일링 법칙이 둔화되며, 성능 향상도 점점 더디고 비용은 계속 증가합니다.
그래서 닷컴 버블처럼, 미래에 대한 과도한 기대가 주가를 부풀리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OpenAI는 2025년 기준 연매출 약 100억 달러(약 13조 원)를 돌파했으며, 연말까지 12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 수익원은ChatGPT 유료 구독으로 ChatGPT Plus, Team, Enterprise 등 다양한 구독 상품이 전체 매출의 75~85%를 차지합니다.
그리고 기업과 개발자 대상 GPT·DALL-E API 제공으로 전체 매출의 15~20%를 차지합니다.
하지만 2024년 기준 OpenAI는 약 7조 원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막대한 인프라 투자와 연구개발비 때문입니다. 특히 GPT-5.1 개발에는 150조 원 규모의 투자가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AI산업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기업 실적 대비 기대치가 과도하게 앞서갔다는 평가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일부 기업은 실제 수익보다 미래 기대만으로 주가가 크게 올라 닷컴 버블과 유사한 과열 신호가 보인다는 분석이 거품론 근거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민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인공지능 버블론은 미국의 유명투자자들로부터 시작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미국의 인공지능 기업들의 기계는 미국 법적으로 감가상각연수가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기업별로 자체적으로 감가상각할 뿐이죠 그럼 내용연수를 늘리거나 줄이는게 가능해집니다
감가상각비를 내용연수를 늘려 적게잡으면
영업이익이 올라가고
영업이익률이 올라감으로 인해 기업이 좋아보입니다
그럼 주가가 상승하고 버블이 생깁니다
또한 현재 에이아이 기반 기업들은 명확한 캐시카우도 없고 수익구조도 없습니다 단지 에이아이만 개발하고 있죠 이런 영업이익은 향후 몇년뒤에나 나올텐데 이것들은 다 반영하고 있는 주가다 고로 버블이다
이정도가 에이아이 버블론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인공지능이 미래 성장동력이 맞지만 실제 기업들의 매출로는 이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발표한 엔비디아 매출도 외상매출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세계 AI 산업과 기술이 성장하는 상황에서 빅테크기업과 반도체 관련 기업들의 투자심리가 폭증했습니다.
실제 AI 실적이 투자나 기대만큼의 가시적인 성과가 나지않는데도 기대감으로 투자가 확대되면서 이런 우려의 의견이 많은 상황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인공지능 거품론은 AI 관련 기업들의 기업 가치가 실제 수익에 비해 과도하게 평가되고, 기술 발전 속도가 초기 기대에 비해 점차 둔화되고 있기 때문에 제기됩니다.
또한, 양질의 데이터 부족과 높은 연구개발 비용, 실적 미흡 등이 투자자들의 불안을 키우면서 거품론의 주요 근거로 작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