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낙동강에 녹조가 많이 생기는 이유는 뭘까요?

그래도 낙동강은 완전히 막아진 물이 아닌것 같은데 예전부터 뉴스에 나오는것을 보면 가장 먼저 녹조가 발생을 하던데요.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낙동강에 독초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고온으로 수온이 상승하고 생활하수나 가축 분료 등이 유입되면서 녹조가 서식하기 좋은 인과 질소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낙동강의 경우 4대강 사업으로 8개의 보가 설치되어 있어 물 흐름이 느리고 정체되어 있기 때문에 녹초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낙동강에 녹조가 자주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첫째, 농업, 축산, 생활 하수 등에서 유입되는 질소와 인 같은 영양염류가 과도하게 쌓여 조류 번식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됩니다. 둘째, 낙동강에 설치된 보들로 인해 물의 흐름이 느려지고 체류 시간이 길어져 조류가 대량 증식하기 좋은 조건이 됩니다. 셋째, 여름철 높은 수온과 강한 햇빛은 조류의 광합성을 촉진하여 급격한 번성을 유도합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환경 요인들이 낙동강의 녹조 현상을 심화시키는 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여름철 강한 햇볕과 수온으로 인해 남조류의 성장이 매우 빨라 녹조가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농경지에서 사용된 비료 및 축산 폐수, 생활 폐수, 다양한 폐수가 유입되어 남조류가 급격히 번식되어 녹조에 가속화를 돋습니다. 이는 강의 흐름이 느려고 정체됨에 따라 영향을 주며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녹조가 악화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낙동강은 흐름이 느리고 수위 조절을 위한 보 설치로 물이 정체되기 쉬운 구조입니다. 그리고 주변 농업과 공업 용수

    사용이 많아 영양염류가 많이 유입됩니다. 또한 주변 축산, 생활하수 등으로 인한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흘러들어

    갑니다. 여기에 기온이 높고 일조량이 많은 여름철에는 조류(녹조) 번식에 유리한 조건이 됩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로 낙동강은 녹조가 가장 먼저 발생하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