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고려청자 겉모양이랑 색이랑 상감법이랑

예쁘고독특하다는데..그릇표면에무늬새기고 다시..유약발라 구워내는 상감청자로 발달했다는데..왜이리 정성들여만들었을까요?귀족들 물품이라 그럴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권기헌 전문가
    권기헌 전문가
    가람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청자의 경우 만드는 것 자체가 상당히 고차원의 기술을 요하는 도자기였지만 외관상의 상당한 아름다움은 귀족층이나 외국에서도 사랑 받는 도자기입니다.

  • 고려청자의 비색은 독특한 색조로 푸른 빛을 띱니다. 12세기 전반에 제작된 비색청자는 깊고 차분한 색감을 자랑합니다. 이는 고령토와 산화처르 산화칼슘을 포함한 유약을 사용하여 1,180도에서 구워져 형성된 것입니다. 그리고 상감법은 고려의 독창적인 장식 기법으로 음각한 부분에 흑토나 백토를 넣어 문양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렇게 고려 청자가 아름다운 이유는 고려 도공의 높은 기술력과 귀족 문화가 발달해서 가능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고려청자의 경우 그 아름다움이 사실상 당대 도자기들 중에서 최고였다고 볼 수 있는데, 귀족들이 애용했던 것도 있긴 하지만 고려 문화 자체가 예쁘고 독특한 것을 문화재를 통해 드러내고자 했기 때문에 정성들여 만들었던 것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