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한국 현대시의 주요 흐름과 대표적인 시인은 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국 현대시는 일제 감점기부터 현재까지 한국 시인들이 창작한 시를 의미하는데요 한국 현대시의 주요 흐름과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누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일제 강점기부터 현재까지 한극시의 주요 흐름과 대표적인 시인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908-1910년대

    -주요 흐름: 신체시와 자유시의 등장, 민족의식과 저항시의 등장

    -주요 시인: 최남선, 한용운, 이은상 등

    1920-1930년대

    -주요 흐름: 자유시의 정착과 서정시의 발전, 민족적 정서의 표출과 전통과 근대의 결합, 일제에 대한 저항과 민족의식

    -주요 시인: 김억, 김소월, 한용운 등.

    1930-1940년대

    -주요 흐름: 모더니즘과 참여시 등 시의 세분화, 실험적 언어의 사용, 일제에 대한 대항과 민족의식, 식민지 청년의 고뇌

    -주요 시인: 이육사, 정지용, 이상, 윤동주, 백 등

    1940-1950년대

    -주요 흐름: 전원적 자연시와 민족의 정체성 강조

    -주요 시인: 청록파(박목월, 조지훈, 박두진), 서정주 등

    1950-1960년대

    -주요 흐름: 6.25 전쟁 이후의 허무와 실존적 문제와 고뇌, 관념시와 순수시 경향, 존재론적 탐구 추구

    주요 시인: 김춘수, 김광섭 등

    1960-1970년대

    -주요 흐름: 민중과 민족의 저항과 역사 의식 고취, 현실 비판

    -주요 시인: 김수영, 신동엽, 고은 등

    1970-1980년대

    -주요 흐름: 산업화로 인한 농촌 문제, 유신에 대한 민중의 저항, 비판 의식, 언어적 실험

    -주요 시인: 박노해, 신경림, 김지하, 황지우 등

    1980년대 이후

    -주요 흐름: 여성 시인의 대두, 도시적 감수성 및 정체성 탐구, 현대인의 고독과 불안, 모스트모더니즘, 해체시,

    -주요 시인: 기형도, 김혜순, 김승희, 최승자, 황병승 등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전문가입니다.

    1920-30년대: 식민지 시대 민족의식을 고취한 시가 주였고, 대표적으로 김소월의 진달래꽃이 있습니다

    1950-70년대: 한국전쟁 후 허무주의와 저항의 시, 대표 시인으로 김수영과 신동엽.

    1980년대 이후: 민주화 운동과 일상에 대한 성찰, 대표적으로 고은과 이문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