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기온이 떨어지면서 감기로 고생하시는
겨울철 기온이 떨어지면서 감기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아 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기온이 떨어지는 계절에 감기 환자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송재 의사입니다. 주위 기온이 떨어지면 일차적으로 면역력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감기에 더 잘 걸릴 수 있습니다. 또한 주위 환경이 건조해 지기 때문에 인후두 점막이 건조해지고 저항력이 약해지는 원인도 있습니다. 추운 날씨 때문에 사람들이 실내에 밀집하기 때문에 감기 혹은 독감 바이러스가 전파되기 쉬운 원인도 있을 것 입니다. 마지막으로 바이러스가 체온 보다 낮은 온도에서 증식 속도가 빨라지는것 또한 겨울철 감기환자 급증의 원인으로 생각 됩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감기는 바이러스의 감염질환입니다.
겨울철에 감기가 많아지는 이유는 병균에 영향을 주는건 아니고 사람의 면역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면역세포들은 화학반응을 통해서 병균들을 죽이기 때문에 온도가 떨어지면 병균을 죽이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심부 체온은 36.5도로 유지되지만 코인두, 구인두 부위는 차가운 공기에 의해서 온도가 많이 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면역작용이 떨어집니다.
또, 건조함에 의해서 면역작용도 떨어지기 때문에 감기게 취약해집니다.
즉, 건조함과 온도가 떨어지는게 겨울철에 감기가 늘어나는 원인이겠습니다.
기온이 떨어지는 계절에 감기 환자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것은 감기를 일으키는 각종 바이러스가 추운 환경에서 활성도가 높아지고 전염력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체온이 떨어지면 면역력도 함께 저하되기 때문에 감기와 같은 감염증에 쉽게 노출되는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