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하얀여치30
하얀여치30

머리 쓰는 것과 신체의 피로는 관련 없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30대

하루에 3시간 자면서 일주일에 112시간을 공부하면서 1년을 보냈다

수학 문제 한 문제를 27시간 연속으로 고민하다가 결국엔 풀었다

암투병생활을 하면서 잘 때 빼곤 전부 공부해서 사법고시 합격했다

이런 말들이 많은데 위의 말들은

몸이 되게 피곤하고 불편한 상태임에도 휴식을 거의 안 가지고 공부를 지속 했다는 말이잖아요?

머리 쓰는 것과 신체 상태는 별로 관계 없을까요??

저는 컨디션 안 좋은 날엔 공부가 안 돼서 공부 하려고 몇 번 시도하다가 결국에 그 날 하루는 쉬게 돼서 그게 고민인데요.

위의 저런 글들을 보면 "아 난 저 정도의 의지가 없는데 합격 될까.. " 이런 생각이 들거든요ㅜㅜ

근데 한편으로는 과연 저 말들이 진짜일까? 혹은 저들은 타고난 체력적으로 타고난 상위 0.001% 아닐까? 라는 회의감이 들어서 질문 드려요

실제로 어떤가요?

공부와 신체 컨디션은 크게 관련 있는 게 아니다

하루에 16시간씩 일주일 공부 누구나 가능하다

vs

깊은 연관이 있다 몸이 피곤해서 글자가 눈에 안 들어오는 정도면 쉬어야 한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부분 어디에 해당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환자분이 이러한 상황에 아직까지 접하시지 않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자리에 지긋하게 앉아서 꾸준히 공부를 하는 것도 능력이기는 합니다.

    어떤 분은 가능하고 어떤 분은 가능하지 않지요

    그리고 말씀대로 집중하지 않고 앉아있기만 하면 이 역시 그다지 효율적이지 못하지요

    하지만 정말로 발등에 불이 떨어지면, 정말로 절실하면 예시에 말씀하신 사람처럼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깊은 연관이 있다 몸이 피곤해서 글자가 눈에 안 들어오는 정도면 쉬어야 한다"

    이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말씀드린대로 정말로 절실하게 되면 눈뜬 시간은 모두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경우 절실함이 극에 달해서 그런지 대부분 좋은 결과가 따라옵니다.

  • 공부를 하는 것과 신체의 컨디션 사이에는 깊은 관련성이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집중을 하고 공부를 하는 것도 다 신체의 건강이 양호하고 컨디션이 좋아야 가능한 부분입니다. 누구나 하루에 16시간을 공부하는 것은 이론적으로야 가능한 일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그러한 일을 지속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건강 상 문제가 없더라도 장시간 집중을 하여서 공부를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의지를 가지고 최대한 시도해볼 수 있지만 이는 극소수의 인원만 가능한 일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장시간 앉아서 공부를 한다고 다 제대로 집중을 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효율 및 능률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무엇이든 과유불급이기 때문에 컨디션이 좋지 않고 힘들 때에는 충분한 휴식 및 컨디션 관리를 해주고, 컨디션이 좋을 때 집중해서 공부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그러한 부분을 핑계로 항상 컨디션이 좋지 않으니 쉬겠다고 한다면 이는 의지가 없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