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증자와 액면분할의 장단점이 궁금해요
무상증자도 액면 분할도 모두 주주가치를 높인것과 주식수가 늘어난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회사입장에서 장단점과 투자자로서의 장단점이 궁금해요
무상증자의 경우에는 회사의 이익금을 자본금으로 전환하기 때문에 주주의 가치 제고를 하는 것이 맞지만 액면분할의 경우에는 주식의 가격이 너무 높아서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을 풀어주는 것이다 보니 엄밀히 말하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것은 아니에요
액면분할과 무상증자는 주식수를 늘리고 주가를 낮추는 방법이지만, 회계상의 변화가 다르다는 점이 차이점입니다. 액면분할은 기업의 자본금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액면가를 낮추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액면가 5,000원인 주식을 1주당 5주로 나누는 경우, 액면가는 1,000원이 되고 주식수는 5배가 됩니다. 주가도 액면가와 비례하여 낮아집니다. 액면분할은 아무런 회계처리도 필요 없습니다 무상증자는 기업의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전환하고 액면가는 그대로인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액면가 5,000원인 주식을 1주당 5주로 증자하는 경우, 액면가는 그대로이고 주식수는 5배가 됩니다. 주가도 주식수와 비례하여 낮아집니다. 무상증자는 자본금과 잉여금의 변화를 회계처리해야 합니다 주주 입장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자본구조와 재무비율에 영향을 미칩니다
질문하신 무상증자의 장단점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무상증자의 장점으로는 신주인수대금 없이도 자본금을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자본금에 디하여 지나치게 거액으로 적립된 준비금을 자본금으로 편입시키면서 재무관리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단점으로는 요건이 까다롭다는 점입니다. 바로, 회사 계정에 반드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 혹은 이익 잉여금이 있어야지 무상증자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점으로는 개인 투자자들의 접근성이 올라가기 때문에 주가의 가격이 상승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단기적인 효과로 실제 기업의 가치는 동일하기에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특성이 있습니다.
과거 삼성이 한주당 200만원을 호가할 당시 개인투자자들의 접근이 어려웠기 때문에 액면분할을 진행했던
이력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무상증자와 같은 경우에는 회사의 이익잉여금이 자본금으로 편입되는 등 주주환원의 일종이나 다른 자금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고 액면분할은 유동성은 풍부하게 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무상증자와 액면분할은 모두 기존주주에게 주식을 나눠주는 효과가 있어 거의 유사합니다. 단, 무상증자의 경우 회사의 이익잉여금이 자본금으로 전환되는 반면 액면분할은 그냥 주식의 단가를 낮추는 거라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전혀 없는 것이 차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