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아하에서 찾은 3건의 질문
- 양도소득세세금·세무Q. 일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질문드려요!2016년 A주택 매입.2021년 5월 B분양권 취득.2024.07.29 A주택 매도.B분양권 아파트 2025년 3월 입주예정. 분양권 취득 후 A주택을 3년이 지난 시점에 매도하였는데요.비과세 받으려면 1년이상 세대원 모두 입주해서 살아야하는 방법밖에 없는걸까요?(저희가 맞벌이이고,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 할 시점이라서 아이는 조부모 집 근처의 초등학교로 입학하려고 생각중이거든요 ㅠㅠ)B분양권 아파트가 아직 입주전인데.. 이런건 혜택을 받을 수 있는게 없죠?ㅠㅠ
- 임금·급여고용·노동Q. 알바 3.3 세금 떼고 있는데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요?근무 일자22.12.01 ~ 23.02.29 A 업체 근무 (4대 보험 O)23.03.20 ~ 현재까지 B 업체 재직 중 (사대 보험 X)안녕하세요, 실업 급여 관련하여 몇 가지 여쭙고자 하여 글 써봅니다. 우선 지금 재직 중인 B 에서는 계약서 상의 계약 종료일이 9월 30일입니다. (계약 종료가 된다고 하여 재직을 못 하는 건 아니지만, 계약서 상에서의 종료일이 기재되어 있습니다)1. 현재 재직 중인 상태에서 4대 보험 없이 3.3% 세금만 떼서 받고 있는데 이 경우 실업 급여가 되나요?2. 만약 4대보험이 안 되어서 실업급여를 받지 못 할 경우, 지금부터 4대보험 가입 시 9월 30일에 계약 종료 시 실업 급여가 가능할까요? (180일 이상 하고 관둘 생각입니다)3. 실업 급여 조건이 18개월 동안 180일 이상 사대보험 진행이라고 하였는데, A 업체에서의 사대 보험 가입 일자도 포함이 될까요? (포함이 된다면 5월부터 가입하고 싶어서요)4. 계약 종료로 인한 실업 급여 지급 시, 제가 일하고 있는 B 회사에 타격이 가나요? 혹은, 제가 실업급여를 받는지 B 회사도 아는지도 궁금합니다.5. 계약 종료가 된다고 해서 바로 실직을 하는 게 아닌데, 이 경우에도 계약서 상 일자만 보고 실업 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6. 위에 내용 충족하여 실업 급여 받을 수 있을 경우 정확하게 9월 30일에 관둬야 받을 수 있나요, 아니면 9월 30일 이후에 그만둬도 받을 수 있나요? (10월 초)7. 실업급여는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급여 기준 60%정도 받는다고 해 주셨는데... 제가 매달 급여가 달라져서요. 근무한 모든 월급 평균으로 받나요 혹은 퇴직 전 3개월 금액으로 받나요?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실업급여가 꼭 필요하여 답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부동산·임대차법률Q. 아파트 소유권 소송에 대응하고자 합니다.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이체내역O)20??.??.??- A → B 50,000,000원 (차용증X, 이체내역O)2013.??.??- A → B 13,000,000원 (차용증X, 이체내역O)20??.??.??- A → B 10,000,000원 (차용증X, 이체내역O)2013.04.29- A가 B의 아파트 소유권을 630,000,000원에 매매함.- B의 변제 능력이 부족으로 매매 결정함.2013.07.20- A가 아파트에 대한 권한(집에 대한 권리 및 대출금)을 모두 가짐.- 이때, 대출금 250,000,000원에 대한 이자를 B이 상환하기로 함.2020.03.13- 대출금 전부 상환- B의 대출금 이자 상환금 약 44,000,000원- A는 B의 친누나로서 동생을 믿고 선의 뜻으로 약 2억 원에 달하는 금액을 대여해 수차례 금전적 도움을 주었으나, B는 이에 대해 원금은 고사하고 이자에 대한 변제도 단 한 번도 하지 않았다. 그의 변제 능력 부족은 수년간 A의 생계를 위협하였고, 2013년 B는 아파트 소유권을 A에게 이전함으로써 빚을 탕감하고자 했다. 이 때, 남아있던 대출금 250,000,000원에 대한 이자를 B이 상환하기로 하였고, 4년 동안 약 4천 4백만 원을 은행에 변제하였다. 2021년, 아파트 가격이 많이 오르자 B는 그동안 자신이 상환한 이자액을 명목으로 A에게 2억 원을 요구하였는데, A가 이를 거절하자 B은 소송을 제기하려 한다. B의 변호사에 따르면, 그가 아파트를 양도할 당시에 그는 신용불량자 위기에 처해있었고 이에 따라 아파트에 대한 가압류 결정이 내려올까 두려웠던 그는 A에게 명의만 넘겨준 것이기 때문에, 다시금 그 소유권을 가지고 올 수 있다고 한다.- 문의사항1. B의 변호사가 주장하는 바가 법적으로 가능한 것인가요?2. A가 안정적인 소유권 확보를 위해 필요한 반박 자료로는 무엇이 있나요?3. 마지막으로 변호사님의 의견 무엇이든 다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