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이순신 장군의 임진왜란 승리 비결은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투 준비에서 누구보다 철저했던 이순신이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것 중의 하나는 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바다의 뱃길을 잘 살펴볼 수 있는 높은 산에는 망군을 내보냈다. 경남 고성의 벽방산, 거제도 대금산, 한산도 고동산, 해남 달마산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처럼 이순신은 해안선이 복잡하고 섬이 많은 남해의 특징을 완벽하게 이용하여 왜군에 맞서 조선의 바다를 지켰다.
학문 /
역사
23.05.05
0
0
신라 시대의 진골들은 어떤 교육 과정을 거쳤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진골은 대부분 왕족출신이었고, 일부는 인접국의 지배층으로 있다가 신라에 투항하여 진골신분에 편입되기도 했다. 성골과 진골의 차이는 확실하지 않지만, 본래 같은 왕족의 범주에 속해 있다가 진흥왕의 장자인 태자 동륜(銅輪) 계열의 후손들이 왕위를 차지하면서 불교의 전륜성왕(轉輪聖王) 설화를 끌어들여 자신들의 혈통을 다른 왕족과 구별하고 신성시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진덕여왕을 마지막으로 성골이 없어지자, 이후부터는 태종무열왕계의 진골출신이 왕위에 올랐다.진골이 신분상 모든 관등에 올라갈 수 있었고 각 중앙관서의 장관직을 독점한 데 반하여, 6두품은 제6관등인 아찬까지만 오를 수 있었고 관직도 시랑이나 경(卿)과 같은 차관직밖에 차지할 수 없었다. 복색·그릇·수레·가옥 등 모든 면에 있어서 진골은 최고의 대우를 받았다. 경제적으로도 녹읍과 전장(田莊)을 통해 부를 축적하고, 대규모의 목장과 노비 등을 소유하고 있었다. 또한 정치·군사뿐만 아니라 학문·사상 분야에서도 뛰어난 인물들을 배출했다.
학문 /
역사
23.05.05
0
0
클래식음악이 한국에서도 작곡되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한국의 유명한 클래식 작곡가로는 윤이상님이 있습니다. 오늘날도 유능한 작곡자들이 작곡을 하고 있구요, 그러나 님께서 기대하는 클래식음악의 느낌과 구조하고는 다를것입니다. 요즘의 음악구조나 작곡기법은 현대적 기법이라.....ㅋ 물론 요즘의 이런음악도 100년이 지나면 클래식이 되겠지요~
학문 /
음악
23.05.05
0
0
<모나리자>라는 작품은 왜 이렇게 유명해졌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화물감을 사용했고, 뚜렷하지않은 외곽선을 사용해 사실적인 표현력을 높인 스푸마토 기법을 사용했다.피라미드 구조를 이용해 인물의 안정감을 주었다
학문 /
미술
23.05.05
0
0
베토벤을 악성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단은 인간의 한계를 넘어선 부분에서 높이 평가하는곳 같습니다. 귀가 들리지 않음에도 그 뛰어난 작품들을 계석해서 써내려갔고, 9개의 거대한 심포니 를 작곡했으니 말입니다
학문 /
음악
23.05.05
0
0
한국최초의 만화가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민보】▶ 1909년 6월 2일 창간된 일간지 ▶ 대한협회에서 발간 (사장 : 오세창 / 발행·편집인 : 장효근)▶ 창간호부터 1면 중앙에 1컷짜리 시사만평 게재 (우리나라 최초의 만화)▶ 만화가 : 이도영 (한국 최초의 만화가)▶ 1910년 8월 31일 한일합방으로 폐간 (총 357호 / 만평 346점 게재)
학문 /
미술
23.05.04
0
0
서울이라는 지명이 어떻게 유래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울이라는 지명은 개경에서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후 도시를 정비해 나가는 과정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태조 이성계는 제일 먼저 궁과 성을 건축하였다.이때, 정도전과 무학은 종교적 사고와 유교적 바탕을 앞세워 서로 강한 주장을 펼쳤다. 두 사람의 이러한 태도는 성역(城役)을 정하는 일에서도 예외는없이 대립하였다. 현재 청와대 뒤 인왕산 북쪽에 선바위가 있는데, 이 선바위를 城안쪽으로 하자는 무학의 주장과 城밖으로 하자는 정도전의 주장은 매우 팽팽하여, 다른 도성은 다 쌓았는데 선바위 부근만 未完成으로 남았다 두 사람의 의견 대립으로 공사가 진척되지 않던 어느 날 아침,그날 따라 밤새 첫눈이 얼마나 많이 내렸는지 한양 땅이 모두 하얀 빛으로 뒤덮여 있었다. 아침 일찍 눈 구경을 하던 태조는 낙산 쪽을 바라보다 고개를 갸웃거렸다. 이상하게도 城안쪽으로는 눈이 보이지 않고 바깥쪽에만 눈이 쌓여 있었던 것이다 태조는 얼른 별감들을 보내어 현장을 보고 오라 하였다 다녀온 별감들이 아뢰기를 성곽 밖으로만 눈이 쌓였고 안쪽은 맨땅이 드러나 있다고 하였다하도 기이한 일이라 잠시 멍하니 있던 태조는 하늘이 한양의 경계를 알려주려고 그러나 보다 여기며 별감들에게 다시 궁궐 뒤 인왕산 선바위 주변을 살펴보고 오라고 명하였다 바삐 다녀온 별감들의 대답은 조금 전과 마찬가지였다. 선바위를 중심으로 안쪽은 눈이 없고 바위를 포함한 바깥쪽은 눈이 쌓였다는 것이었다 태조는 기쁨에 사로잡혔다. 곧 정도전과 무학을 입궐케 하여 이사실을 말해 주었다. 듣고 있던 두 사람 또한 하늘의 뜻이라고 여기며 묵묵히 받아들였다 이로써 선바위 안쪽으로 성곽을 쌓게 되었는데, 이날 내린 눈이 성곽 안쪽과 바깥쪽의 경계를 뚜렷하게 제시해 주었다 하여, 눈과 울타리란 뜻으로 ”설울(雪鬱)“이라는 낱말이 생겼다 그때부터 ”설울“이란 지명을 쓰려 했으나 당시 이미 한성부라는 지명이 있었으므로, 계속 한성부 혹은 한양이라고 불리다가 1945년 해방 후 ”서울“이라는 세련된 地名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학문 /
역사
23.05.03
0
0
팔만대장경이 만들어진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시대에는 대장경을 세 번이나 만들었어요. 대장경이란 불교 경전들을 한데 모아서 읽기 쉽게 정리한 것이지요. 처음 만든 대장경은 '초조대장경'인데, 현종 때부터 77년에 걸쳐 만들었어요. 두 번째는 선종과 숙종 때 만든 '속장경', 세 번째가 '팔만대장경'이에요.팔만대장경은 몽고의 침입으로 초조대장경과 속장경이 모두 불에 타 없어져 새로이 만든 것이랍니다. 힘든 전쟁 중에 굳이 팔만대장경을 만든 까닭은 무엇일까요? 그건 바로 불교에 대한 믿음 때문이었어요. 고려 시대에는 왕실은 물론 백성들까지 불교를 믿었어요.따라서 대장경을 새로 만들어 불교의 힘으로 몽고의 침입을 막으려고 했던 거예요. 팔만대장경은 1236년에 특별히 설치한 '대장도감'이라는 관청에서 만들었어요. 대장도감은 지금의 강화와 진주 남해현에 자리하고 있었답니다
학문 /
역사
23.05.03
0
0
클래스 올덴버그라는 스웨덴 조각가가 표현한 작품들은 무엇을 표현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Oldenburg의 창작 과정은 매우 즉흥적이었고 종종 많은 실험을 수반했습니다. 그는 천, 폼, 플라스틱, 심지어 발견된 물건까지 다양한 재료를 작업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회화, 소묘, 콜라주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Oldenburg는 또한 그의 작업에서 규모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했습니다. 그는 종종 멀리서 볼 수 있도록 설계된 대규모 조각품과 설치물을 만들었습니다. 이를 통해 그는 시각적으로 놀랍고 개념적으로 복잡한 작품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Oldenburg의 첫 번째 주요 작품은 그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에 만든 일련의 부드러운 조각품이었습니다. 이 조각품들은 천, 폼, 플라스틱과 같은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음식, 도구, 가구와 같은 일상적인 물건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올덴부르크의 부드러운 조각은 당시의 전통적인 조각에서 급진적으로 출발하여 예술계에서 빠르게 주목을 받았습니다. 클래스 올덴버그(Claes Oldenburg)는 대형 조각물을 비롯해 다양한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유명한 대표작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Giant Hamburger' (1965) - 이 작품은 거대한 햄버거를 형상화한 것으로, 소비 문화와 대중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예술작품 중 하나입니다. 2.'Floor Burger' (1962) - 이 작품은 바닥에 놓인 거대한 햄버거를 형상화한 것으로, 'Giant Hamburger'와 마찬가지로 대중문화를 상징하는 작품입니다. 3.'Typewriter Eraser' (1977) - 이 작품은 거대한 타이핑기 지우개를 형상화한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물건을 대상으로 한 올덴버그의 작품 중 하나입니다. 4.'Soft Toilet' (1966) - 이 작품은 부드러운 직물로 만든 화장실을 형상화한 것으로, 소비문화의 대상을 대상으로 한 올덴버그의 작품 중 하나입니다. 5.'Clothespin' (1976) - 이 작품은 거대한 옷집게를 형상화한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물건을 대상으로 한 올덴버그의 작품 중 하나입니다. Claes Oldenburg의 예술적 유산은 혁신과 실험 중 하나입니다. 그의 작업은 예술을 보고 경험하는 방식을 재정의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순수 예술과 대중문화 사이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의 영향력은 현대 예술가들의 작품에서 여전히 볼 수 있으며 그의 유산은 계속해서 미래 세대의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줄 것입니다.
학문 /
미술
23.05.03
0
0
우리나라 사형제도가 폐지된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헌법재판소에서는 한 나라의 문화가 고도로 발전하고인지가 발달하여 평화롭고 안정된 사회가 실현되는 등시대 상황이 바껴 생명을 빼앗는 사형이 가진위하에 의한 범죄예방의 필요성이 거의 없게 된다거나국민의 법 감정이그렇다고 인식하는 시기에 이르게 되면사형은 곧바로 폐지되어야 한다."이런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사형제도가 존재하고실제 극악무도한 범죄자에게는아주 드물게 사형을 선고하기도 합니다.하지만 사형을 집행하지는 않습니다.많은 국민이 극악무도한 범죄자에 대한사형 집행을 하지않는 상황을 이해하기 힘들어하는데어쨋든 우리나라는 국제인권단체 엠네스티의 분류기준에 따라실질적 사형폐지국가입니다.
학문 /
역사
23.05.03
0
0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