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부활절에 계란을 나누어 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부활절의 상징물은 크게 어린양, 백합, 달걀을 뽑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달걀이 가장 대표적인 부활절의 상징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부활절에 예쁘게 꾸민 달걀을 주고받는 행위의 유래에 대한 썰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에수 그리스도가 십자가를 지고 골고타 언덕을 오를 때 잠시 십자가를 대신 져준 구레네 시몬이 계란 장수였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십자군 전쟁 때로 올라갑니다. 로자린드 부인은 남편이 십자가 전쟁에 나간 뒤 집을 빼앗기고 산골마을로 피해 도망가게 되었습니다. 산골마을 주민들은 이런 로자린드 부인에게 따뜻하게 대해 주었고, 로자린드 부인은 고마움을 표현하고자 아이들에게 예쁘게 꾸미고, '하나님의 사랑을 믿자'는 가훈을 적어 나누어 주었습니다. 그리고 부활절 날 로자린드 부인은 병든 어머니를 찾아간다는 어린 소년에게 그 달걀을 나누어 주었고, 소년은 산골에서 병든 군인에게 달걀을 나누어 주었습니다. 그런데 그 군인은 로자린드 부인의 남편이었고, 가훈을 보고 놀란 군인은 소년에게 물어 아내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그 후에도 로자린드 부인은 부활절마다 예쁘게 꾸민 달걀을 나누어 주었고, 이것이 부활절의 상징이 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정확한 증거는 없습니다. 세 번째로 페터 제발트는 10세기 이집트의 그리스도교 신자들 사이에 부활절 계란을 주고받는 풍습이 있었으며, 모든 문화와 종교에서 계란은 다산과 부활을 상징한다고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08
0
0
우리나라애서의 소에 대한 역사적 의미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농경사회가 주가 된 우리나라는 노동을 증가시키고 일의 효율을 높여주는 소가 엄청난 재산적 가치가ㅜ있었지요. 경운기, 트렉터 정도의 가치가 아닐까 싶습니다.그래서 다들 소를 가지려했고, 소값이 비쌌지요.오늘날에는 주로 식용으로 기르지만~~
학문 /
역사
23.04.08
0
0
중세 낭만파 작곡가에는 누가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슈만,리스트,쇼팽,멘델스죤,브람스... 등 너무 많은 작곡자들이 있지요!~
학문 /
음악
23.04.08
0
0
인문고전으로 초보자가 읽기 쉬운 책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리딩으로 리드하라'는 독서 단계별 인문고전을 추천을 하고 있어서 인문고전 초보자들에게는 좋은 가이드 역할을 합니다.
학문 /
역사
23.04.08
0
0
베를리오즈의 대표작은 무엇이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베를리오즈의 환상교향곡은 프랑스 작곡가 베를리오즈의 대표작이자, 낭만주의 교향곡에서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는, 음악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걸작이다. 베를리오즈는 ‘고정 악상’ 즉, ‘고정된 관념을 나타내는 선율’이라는 착상을 통해 표제음악 분야를 개척했고 교향곡에 이야기를 도입한 최초의 교향곡을 탄생시켰다.젊은 예술가가 연인과의 사랑이 좌절 당하자 아편 자살을 시도하다가 혼수상태에 빠져 기괴한 환상에 사로잡힌다는 것이 주 내용이다. 여기서 그의 연인을 상징하는 선율이 ‘고정 악상’으로 표현되어 5개의 악장마다 변주되어 나타난다.생동감 있고 유연한 선율이 인상적이다.
학문 /
음악
23.04.08
0
0
ai가 그림을 그리는걸 보았습니다. 이게 예술일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잘 그린 그림만 찾는다면 사진이나 만화를 보면 됩니다ㅡ 자고로 예술이란 작품에 영혼이ㅜ깃들어야하지요. 그말은 영혼이 있는 사람이 그린 그림이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AI는 영혼이ㅜ없어서 그림에도 영혼이ㅜ깃들기를 기대하는건 무리가 있겠지요? ㅋㅋ
학문 /
미술
23.04.08
0
0
로마의 원형경기장 콜로세움을 완공한 황제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콜로세움이라는 명칭은 나중에 만들어진 것이다. 정식 명칭은 건설자인 베스파시아누스 황제의 일족 명을 딴 플라비우스 원형극장. 콜로세움이라는 명칭은 이 플라비우스 원형극장 근처에 세워진 아주 거대한 네로 황제의 동상(콜로서스) 때문에 붙여진 것이었다는 설이 있다. 그 콜로서스 동상은 건설 당시부터 평판이 아주 나빴기 때문에 네로 황제가 실각한 이후 머리 부분이 태양신의 두상으로 교체되었었고, 나중에 구리로 재활용하기 위해서 완전히 철거되었다. 하지만 콜로세움이라는 명칭은 계속 남아서 원형극장 쪽으로 전해졌다는 것이다. 이 플라비우스 경기장을 어떤 명칭으로 불러야 하냐에 대한 의문이 들 수 있는데, 일단 현대에 대중적, 공식적으로는 콜로세움의 사용률이 높다.
학문 /
미술
23.04.07
0
0
로마의 원형경기장 콜로세움은 언제 지어진 건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플라비아누스 황제 때 세워진 것으로 원래는 플라비아누스 원형경기장이라고 불렸다. 70~72년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때 공사를 시작해 80년 티투스 황제 때 100일간의 경기가 포함된 제전을 위해 공식적으로 헌정되었다. 82년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최상층을 덧붙여 공사를 완성했다.
학문 /
역사
23.04.07
0
0
피그말리온 효과와 플라시보 효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피그말리온 효과는 로젠탈(Rosenthal, Robert) 효과, 자성적 예언, 자기 충족적 예언이라고도 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조각가 피그말리온의 이름에서 유래한 심리학 용어이다. 조각가였던 피그말리온은 아름다운 여인상을 조각하고, 그 여인상을 진심으로 사랑하게 된다. 여신(女神) 아프로디테(로마 신화의 비너스)는 그의 사랑에 감동하여 여인상에게 생명을 주었다. 이처럼 타인의 기대나 관심으로 인해 능률이 오르거나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을 말한다.위약(僞藥) 또는 플러시보(placebo)는 ‘내가 기쁘게 해주지’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에서 나왔다. 실제 효과가 없는 녹말·생리식염수 등의 ‘속임약’을 특정한 유효성분이 있는 것처럼 위장하여 환자에게 투여했을 때 환자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고 복용함으로써 실제로 병세가 호전되는 현상이다. 정신상태에 영향을 받기 쉬운 질환이나 만성질환에서 특히 효과가 있으며, 비교연구에 의해 의약품의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공통점: 직접적인 효과보다 기대효과,과학적으로 판명되지 않는효과,감정적효과, 정신적효과가 공통점이라고 생각한다
학문 /
미술
23.04.07
0
0
교황청이 독립적으로 이탈리아 영토안에 있는이유?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교황청은 원래부터 교황이 머무르는 장소를 지칭하는 말이었다. 교황은 전통적으로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라테라노 대성당(San Giovanni in Laterano)에 머물렀다. 그러다가 1305년 선출된 프랑스인 교황 클레멘스 5세(Clemens V)가 프랑스 왕의 강력한 간섭으로 1309년부터 프랑스 아비뇽에 머무는 이른바 ‘아비뇽 유수(Avignonese Captivity)' 사건이 벌어졌다. 이 때 교황청이 잠시 프랑스 남부 아비뇽 지역으로 옮겨졌다. 아비뇽 유수를 마치고 교황이 다시 로마로 돌아왔으나 기존의 라테라노 대성당은 이미 폐허가 돼 있었다. 이 때 교황이 바티칸 지역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바티칸이 교황청의 본산이 됐다. 1967년 교황 바오로 6세(Pope Paul VI, 1897~1978)가 교황청 기구를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1989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 1920~2005)가 각 기구의 성격을 분명히 하면서 교황청이 오늘의 모습을 갖췄다.바티칸시국은 이탈리아 안에 있지만 교황청은 1929년 이탈리아와 라테라노 협약(Lateran Concordat)을 체결해 독자적인 주권을 인정받았다.
학문 /
역사
23.04.07
0
0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